경상남도가 깨끗한 수자원 확보를 위해 식수정책을 전환한다. 해마다 녹조 발생으로 논란을 빚고 있는 낙동강 대신 함양 등 서북부 지역에 중소형 댐을 건설해 식수원으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도는 함양 문정댐 등 중소 규모의 댐을 건설해 경남 전역에 1급수 식수를 공급하는 방향으로 식수정책을 전환한다고 12일 발표했다.

도는 1단계로 합천 조정지댐을 활용해 창원·김해·양산·함안 등 4개 시·군 170만명에게 1급수를 공급하고 중·소규모 댐도 추가로 건설하기로 했다. 합천 조정지댐 활용으로 50만t, 중소 댐 건설로 20만t 등 총 70만t의 식수를 확보해 공급할 계획이다.

도는 시·군별로 소규모 식수원을 만들어 40만t을 확보해 간이상수원 등을 대체해나가는 한편 보조 식수원으로 활용해 식수 자립화를 꾀하기로 했다.

2단계로 문정댐(일명 지리산댐)을 건설해 여유 수량을 확보한 뒤 부산·울산에도 식수를 공급한다는 구상이다. 문정댐 건설로 46만t, 강변여과수 개발을 통해 61만t 등 총 107만t의 수량을 확보하면 부산과 울산 지역 식수 일부를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경남은 서부지역은 남강댐 물을, 일부 중동부 지역은 밀양댐 물을 식수로 사용하고 있다. 창원·김해·양산·함안 등 도내 전체 인구의 55%가 넘는 주민들은 낙동강 물을 정수해 먹는 물로 사용하고 있다.

도는 식수 정책을 전환하게 된 배경에 대해 “2014년부터 2020년까지 1조3000억원이 넘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낙동강을 정화하고 있지만 산업 및 생활폐수로 1급수가 되기 어렵다”며 “낙동강은 상류지역의 유해 화학물질 유출 등 사고에도 취약해 깨끗한 식수원 확보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동찬 경상남도 재난안전건설본부장은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댐 희망지 공모사업과 연계해 소규모 댐을 만들고, 홍수조절용으로 검토하고 있는 문정댐도 식수댐 활용이 가능한 다목적댐으로 건설하도록 의견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

도의 이 같은 정책 발표에 환경운동단체는 즉각 반발했다. 진주환경운동연합과 마창진환경운동연합 등은 “낙동강의 수질을 개선하는 것이 우선”이라며 “지리산댐 등 민감한 사안을 여론 수렴도 없이 추진하겠다는 것은 도의 일방적인 구상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창원=김해연 기자 ha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