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시보다는 道, 시보다는 군에 몰려…전남 고흥 38.5%, 전국 최고
10년 전보다 0∼4세 영유아 늘어난 곳은 인천·울산·충남뿐

한국 사회가 빠르게 늙어가고 있다.

전국 시·군·구 10곳 중 3.8곳의 65세 이상 노인 비율이 20%를 웃돈다.

고령 사회를 넘어서서 '초고령 사회'로 접어든 것이다.

65세 이상 노인 비율이 14% 이상이면 '고령 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로 분류한다.

10년 전인 2005년에만 해도 초고령 사회는 시·군·구 4곳당 1곳꼴이었다.

10년 동안 초고령화가 급속히 빠른 속도로 진행된 것이다.

유엔이 정한 노인의 기준은 65세 이상이다.

유엔은 이 기준을 토대로 65세 노인이 총인구의 7% 이상일 때를 고령화 사회, 14% 이상일 때 고령 사회로 분류한다.

인구 구조에 맞춰 각종 정책을 짜야 하는데 고령화 사회인지, 고령 사회인지에 따라 그 정책도 달라진다.

저출산·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일본과 우리나라에는 또 하나의 기준이 있는데 바로 노인 인구 비율이 총인구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초고령 사회'다.

2005년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초고령 사회 비율은 27.6%(63개)에 불과했다.

10년 만인 작년 11월 기준, 초고령 지자체 비율은 37.7%(86곳)로 증가했다.

이런 현상은 특별·광역·특별자치시보다는 농촌이 많은 도(道)에서 더 심각하다.

8개 광역·특별시 중 초고령 사회로 분류된 군·구가 있는 곳은 부산(3곳)과 인천(2곳)뿐이다.

서울과 대구, 광주, 대전, 울산, 세종에는 초고령 사회로 분류된 군·구가 1곳도 없다.

반면 9개 도에는 초고령 시·군·구 70개가 몰려 있다.

경기 3곳, 강원 6곳, 충북 5곳, 충남·전북 각 10곳, 경남 11곳, 전남·경북 각 17곳 등이다.

시·군 가운데는 군 지역 고령화가 훨씬 심각하다.

청년들이 도시로 몰리면서 군 지역의 고령화 속도가 한층 빨라지는 것이다.

경남을 예로 들면 8개 시 가운데 초고령 사회인 곳은 밀양시 1곳뿐이다.

반면 농촌 지역인 10개 군은 모두 초고령 사회이다.

14개 시·군으로 이뤄진 전북도 역시 마찬가지다.

6개 시 중 정읍과 김제가 초고령 사회로 분류되는 데 비해 8개 군 중 완주를 제외한 7개 군 모두 초고령 사회에 들어섰다.

노인 비율이 30%를 웃도는 시·군·구도 전국에 24곳이나 된다.

전남 고흥의 노인 비율은 무려 38.5%에 달한다.

100명당 노인이 39명은 되는 셈이다.

다음으로 경북 의성과 군위가 각 38.2%와 37.5%, 경남 합천 36.4%, 전남 신안 35.1%, 전북 임실 34.8% 등의 순이다.

고령화만큼이나 저출산도 큰 문제로 부각될 수 있다.

전국의 0∼4세 아동 비율을 보면 10년 전인 2005년(238만2천350명)보다 2015년(223만5천397명)이 6.2%(14만6천953명) 적다.

같은 기간 0∼4세 아동 비율이 증가한 시·도는 인천(3%), 울산(2.1%), 충남(0.65%)이 전부다.

나머지 14개 시·도는 모두 감소했는데, 특히 강원도의 감소율은 19.1%에 달했다.

(청주연합뉴스) 심규석 기자 k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