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경제단체, 시간선택제 확산 업무협약 체결

육아, 임신 등의 이유로 전환형 시간선택제에 대한 30대 여성 근로자의 수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근로자 수 500인 이상 대기업 989개 사 12만3천150명을 대상으로 전환형 시간선택제 수요를 조사한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전환형 시간선택제는 전일제 근로자가 육아, 학업 등을 위해 일정 기간 시간선택제로 전환해 근무하는 제도다.

조사 결과 1만2천823명(10.4%)이 3년 내 전환형 시간선택제를 활용하길 원했다.

이 가운데 30대 여성이 28.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30대 남성(24.6%)이 뒤를 이어 전체 수요의 52.9%를 30대 근로자가 차지했다.

성별·연령대별로 3년 내 전환형 시간선택제를 희망하는 비율은 30대 여성(26.5%), 60대 이상 남성(25.8%), 30대 남성(18.4%), 20대 여성(12.4%) 순이었다.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가 있는 근로자(24.3%)나, 맞벌이 근로자(24.1%)도 시간선택제를 원하는 비율이 매우 높았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종, 직급별로는 대리급의 시간선택제 수요가 높았다.

특히 시간선택제 활용을 원하는 근로자 중 35.6%는 임금이 20% 이상 줄어드는 것을 감수하고서라도 이를 활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3년 내 활용 의향이 있는 30대 여성 중 임금이 줄어드는 것을 감수할 생각이 있는 근로자는 42.3%에 달했다.

전환형 시간선택제를 활용하고자 하는 이유로는 '육아·보육'(43.2%), '자기계발'(11.5%), '임신'(7.4%), '퇴직 준비'(6.9%) 등을 꼽았다.

단축하고 싶은 근무시간은 '2시간 초과∼4시간 이하'(38.6%), 단축 기간은 '6개월∼1년 미만'(35.5%)이 가장 많았다.

전환형 시간선택제 활용의 장애 요인(중복 응답)으로는 '업무가 맞지 않음'(38.4%), '임금 감소'(30.9%), '인사상 불이익'(27.6%), '동료 업무 과중'(26.1%) 등을 꼽았다.

응답 기업 중 16.2%는 이미 전환형 시간선택제를 운영하고 있었다.

아직 제도를 운용하지 않는 기업 중 35.5%는 3년 내 제도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날 고용부 이기권 장관은 시간선택제 운영 선도기업, 경제단체 등과 '전환형 시간선택제 확산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시간선택제 근무를 희망하는 근로자가 실제로 제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기업은 자율적으로 제도 도입과 확산에 노력하기로 했다.

경제단체와 정부는 홍보, 컨설팅, 재정지원 등으로 이를 뒷받침한다.

이 장관은 "협약 체결 기업들이 우수 모델을 선도적으로 만들어 나가고 경제단체와 정부가 협력해, 생애주기에 따라 필요한 때에 전일제와 시간선택제를 오갈 수 있는 일·가정 양립 문화를 정착시키자"고 당부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한 번의 신청으로 전환형 시간선택제, 출산 전후 휴가, 육아휴직, 복직 등을 패키지로 활용할 수 있는 '전환형 시간선택제 패키지' 제도를 운용하는 한국남동발전의 사례가 소개됐다.

이어 모든 임신 근로자에게 전체 임신기간 단축근무를 보장하는 이마트의 사례도 소개됐다.

이마트의 '임신기 일괄 단축근무' 제도를 활용하면 임신이 확인된 근로자가 법적 보장기간(임신 12주 이내, 36주 이후) 외에도 전 임신기간에 걸쳐 하루 2시간씩 유급으로 단축근무를 할 수 있다.

이 제도를 활용하는 조모(33) 대리는 "단축근무 덕분에 출근 전 여유가 생겨 아침식사도 꼬박꼬박 챙겨먹고, 일찍 퇴근해 휴식도 충분히 취할 수 있어 좋은 컨디션으로 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마트는 제도 도입 이전 연 37명에 불과하던 근로시간 단축 인원이 올해는 500명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서울연합뉴스) 안승섭 기자 ssa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