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대 사태’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자 그동안 ‘침묵하던 다수’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화여대가 언제부터 특정 계층만 들어갈 수 있는 학교가 됐느냐”는 내부 반성이 등장하기도 했다. 농성 학생들이 본관 점거를 풀 수 있도록 ‘퇴로’를 마련해줘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지난달 28일 평생단과대학 신설을 반대한다며 본관을 점거한 뒤 이화여대생들의 농성은 11일까지 계속되고 있다. 지난 10일엔 3500여명(경찰 추산)의 재학생과 졸업생이 모여 최경희 총장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를 했다. 학교 측은 “대화가 우선”이라고 호소하고 있다.

사태가 꼬이자 이화여대 내부에서는 “이성을 되찾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이화여대 졸업생 일동’이라는 이름으로 인터넷에 올라온 글에는 “배움의 기회를 얻지 못하고 사회생활을 먼저 시작한 여성들에게 평생교육 기회를 제공한다고 해서 이화여대의 가치가 상실되는 것은 아니다. 농성장에 없는 수많은 동문은 이화여대가 100세 시대 평생교육의 선두주자로 우뚝 서길 기대하며 사안의 본질을 뒤엎는 총장 사퇴도 반대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사회대 3학년 박모씨는 “침묵하고 있는 이들의 의견도 존중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최 총장의 공과를 놓고 일부 학생이 너무 비판에만 치중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이화여대의 한 교수는 “오랫동안 반값등록금 정책이 시행된 탓에 학교 재정이 고사 직전이었는데 최 총장이 이런 상황을 개선하려고 노력한 점은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최 총장이 취임한 뒤 이화여대는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시범운영 대학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 △대학 기업가센터 주관대학 등 정부의 각종 재정지원 사업에 선정됐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소통이 해법”이라고 입을 모았다.

김동현/박동휘 기자 3co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