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0대 후반(35∼39세) 여성 고용률이 7년 반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라섰다.

전문가들은 유연 근로제 확산으로 '경단녀'(경력단절여성)들이 일터로 뛰어들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면서도 고용률의 절대적인 수준 자체는 높지 않다고 지적한다.

1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30대 후반 여성 고용률은 56.7%를 기록, 57.6%를 나타낸 2008년 11월 이후 가장 높았다.

30대 후반 여성 고용률은 올해 들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1월 55.6%를 기록하고서 2월 55.4%로 다소 낮아졌다가 3월 56.1%, 4월 56.4%로 3개월 연속 올랐다.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이 연령대 여성의 연평균 고용률이 54%대를 유지했다는 점에 견줘봐도 높은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30대 후반 여성 고용률이 상승한 것을 긍정적으로 본다.

이 연령대 여성들이 일터로 뛰어들지 못하는 주요 원인이 출산과 육아인데, 유연 근로제가 확산하면서 아이를 낳고 기르면서도 일을 하는 여성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되기 때문이다.

김광석 한양대 겸임교수는 "정책적으로 시간선택제, 재택근무 등 유연 근로제를 장려한 영향이 크다"며 "보육시설 등이 늘어나며 여성의 경력단절 문제가 어느 정도 해소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성미 한국노동연구원 전문연구위원도 "여성 경력 단절 예방 정책이 효과가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산업구조가 변화하는 점, 여성들이 결혼을 늦추는 점도 30대 후반 여성이 일터에 머무르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김 교수는 "최근 제조업에서 서비스업 중심으로 산업구조가 바뀌고 구조조정이 진행되면서 전통적으로 남성이 종사하던 제조업 일자리 비중이 줄고 여성이 많이 가는 서비스산업 일자리 비중이 늘어나는 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정 전문연구위원은 "30대 후반 여성은 초등학교에 들어가는 자녀를 둔 경우가 많아 육아 때문에 일을 그만두는 경우가 많았다"면서 "최근에는 아이를 낳지 않거나 결혼을 늦추는 여성이 늘어나 고용률이 상승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책 효과, 산업 구조 변화, 만혼 추세 등이 맞물리면서 30대 후반 여성 고용률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다만 다른 연령대나 주요 국가과 비교하면 30대 후반 여성 고용률은 아직도 낮은 수준이다.

같은 연령대 남성 고용률은 92.0%로 여성보다 35.3%포인트나 높다.

여성으로만 따져봐도 20대 후반(25∼29세) 70.3%, 30대 초반(30∼34세) 60.4%, 40대 66.1%, 50대 62.2%로 30대 후반 고용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과 견줘보면 2014년 기준 한국 30대 후반 여성 고용률(54.9%)은 OECD 평균(66.6%)보다 11.7%포인트나 낮았다.

김 교수는 "고용 시스템의 유연화가 일자리 질 악화로 연결되지 않도록 여성 고용이 창출돼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porqu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