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로 기업이 몰리고 있다. 수도권 규제로 지방으로 이전하는 기업들이 과거에는 충청 강원 등에 둥지를 틀었지만 땅값 상승 등의 이유로 이제는 그보다 더 남쪽으로 내려오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기업 유치를 위해 발벗고 나선 것도 한몫했다.
기업 몰리는 전라북도의 재발견
5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전라북도는 올해 1분기에 437억원 규모의 기업 투자를 유치해 72억원의 지방투자촉진보조금을 확보했다. 투자 유치액수는 충청북도(779억원) 다음으로 많고, 유치 기업 수는 5개로 지자체 중 가장 많다.

지방투자촉진보조금은 지자체(수도권 제외)가 유치한 기업에 보조금을 지원하는 제도로 ‘지자체가 얼마나 기업 유치를 잘했나’를 알려주는 척도로 쓰인다.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이전하는 기업과 지방에서 공장 등을 신·증설하는 기업이 혜택을 받는다. 기업이 설비 등에 투자하겠다고 밝힌 액수의 14%를 정부와 지자체가 65 대 35 비율로 지원한다.

전라북도는 지난해에도 178억원의 보조금을 받아 전체 지자체 중 1위를 차지했다. 투자 유치액수는 2104억원이었고, 유치 기업은 12개였다. 전라북도의 유치 기업 수는 2009년 4개 등 계속 한 자릿수였지만 2012년 14개로 두 자릿수를 기록한 뒤 이를 유지하고 있다.

전북에 기업이 몰리는 이유는 여러 가지다. 우선 기존 산업단지에 비해 땅값이 저렴하다. 과거 기업들이 수도권 규제를 피해 이전한 곳은 충남 아산·천안·당진, 충북 오송, 강원 원주 등이었다. 수도권과 가까운 지역들이다. 최근엔 이 지역 땅값이 오르면서 기업들이 비용 부담을 피해 그보다 남쪽인 전북 경북 등으로 이동하는 추세다.

전북에서는 완주 익산 김제 군산 등에 둥지를 트는 기업이 많다. 수도권 이외 지역에서 완전히 이전하면 보조금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기존 사업장을 일부 유지한 채 추가 투자 형식으로 이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전라북도청 관계자는 “이번에 보조금을 받은 기업 중에도 충청권에서 넘어온 기업이 있다”며 “전북은 충청권과 차로 30분 거리라 기업들이 선호한다”고 말했다.

송하진 전북지사가 기업 유치를 진두지휘한 것도 좋은 실적을 내는 이유로 꼽힌다. 송 지사는 올해 195억원이라는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유치 목표까지 내걸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지방투자촉진보조금을 받으려면 지자체도 예산을 책정해 놔야 하는데 아예 관심이 없는 곳도 적지 않다”며 “전라북도는 송 지사 등이 기업 유치에 적극적이고 완주군 익산시 김제시 등 전북 내 기초지자체도 활발히 움직이는 편”이라고 설명했다.

전라북도청 관계자는 “자동차 관련 기업과 금속재료 기업들의 투자를 많이 유치했다”며 “전북은 다른 지역에 비해 산업화가 늦은 편이어서 더욱 적극적으로 기업에 구애를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올해 1분기에 투자 유치를 한 기업들은 2년 전부터 공을 들인 기업들”이라며 “지난해에 기업들과 양해각서(MOU)까지 맺은 덕분에 올해 보조금을 받을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세종=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