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차 1m 이내' 초정밀 GPS 기술 세계 첫 개발…내년 수도권 시범 서비스
서울에 사는 직장인 A씨는 최근 차를 몰고 부산으로 출장갔다가 낭패를 봤다. 고가도로를 탔어야 했는데 내비게이션의 “직진하라”는 안내만 믿고 운전하다가 고가도로를 놓쳐 약속시간에 30분가량 늦은 것이다. 정기적으로 내비게이션 도로 정보를 업데이트하지 않은 탓도 있지만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위성항법장치(GPS)가 일반도로와 겹쳐 있는 고가도로를 구분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최근 골프에 재미가 붙은 B씨는 지인들의 권유로 골프거리측정기를 구입했다. 하지만 골프장에서 한 번 사용하고는 제품을 서랍에 넣어뒀다. 홀까지 남은 거리를 정확히 알려줄 거라 기대했지만 오차범위가 생각보다 커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내년부터는 A씨, B씨와 같이 내비게이션과 골프거리측정기 등의 부정확한 GPS로 인한 불만이 사라질 전망이다. 현재 15~30m에 달하는 GPS 오차범위를 1m 이내로 줄인 차세대 GPS가 개발됐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는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의 핵심 기술인 차세대 도로교통용 위성항법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8일 충북 오창에서 시연행사를 열었다. 국토부와 항공우주연구원은 2009년부터 오차를 줄이는 보정 기술 개발에 들어가 지난해 말 원천기술 개발을 마쳤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오차범위가 통상 0.2~0.9m 수준(최대 오차 1.5m)에 불과해 차로(폭 3m) 구분이 가능하다.

이 기술은 현행 내비게이션 제품이 사용하는 GPS 코드에 GPS 반송파를 사용해 위치 오차를 대폭 개선하고 이동 중에도 실시간으로 정밀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한 것이 특징이다. 1만원대의 저렴한 GPS 수신 칩을 사용해 기존 제품과 가격 차이가 크지 않아 상용화가 빠를 것으로 국토부는 예상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 기술은 정밀 도로지도와 함께 자율주행차가 차로를 구분해 달리게 하는 핵심 기술로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 상업용 드론(무인항공기), 스마트폰 등에 활용할 수 있다”며 “시각장애인 보행 안내, 골프 스마트 캐디 등 활용처가 늘어나면 사회·경제적 효과가 수조원에 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관련 기술을 민간에 이전하고 GPS 신호를 보정하는 인프라를 구축해 내년 수도권에서 시범서비스를 시작한다.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자율주행차 시범 주행이 가능하도록 2018년부터는 전국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도로교통용 GPS 보정기술은 아직 상용화한 나라가 없고 항공·해양분야와 달리 국제표준 규약도 없다는 점을 고려해 국제표준화 작업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