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미래형 에너지 도시로 거듭난다
대구시가 전국 특별·광역시 가운데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쓰레기와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에너지로 활용하는 등 신·재생에너지원을 꾸준히 확보한 덕분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이 2014년 기준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을 석유, 풍력, 태양광 등 전체 1차 에너지 소비량으로 나눈 값)을 조사한 결과 대구시는 6.1%로 특별·광역시 중 1위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 평균 4.08%보다 크게 높은 것이다.

대구의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이 높은 것은 하수처리장과 쓰레기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자원화한 데다 산업단지 건물 옥상의 태양광 설치와 연료전지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결과다. 대구시의 에너지원별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은 바이오에너지가 53%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폐기물 34%, 태양광 및 연료전지가 각각 4%, 지열 2%, 수력 2%, 태양열 1% 순이었다.

대구시는 2006년부터 대구시 달성군 방천쓰레기 매립장의 매립가스 자원화 사업을 민자사업으로 추진해 연간 2만134toe(원유 15만7000배럴에 해당하는 열량)를 생산하고 있다. 또 대구시내 4개 하수처리장의 슬러지에서 발생하는 바이오 에너지도 연간 1만3361toe(원유 10만4000배럴)를 회수하고 있다.

대구시는 앞으로 특정 산업단지나 지역의 에너지를 자체적으로 공급하는 에너지 자족도시 사업으로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더욱 높일 계획이다. 시는 달성군 구지면 일원에 건립하는 국가산업단지의 건설단계부터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융복합 분산전원 등을 활용해 마이크로그리드(소규모 지역에서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전력망)를 구축한다.

또 올해부터 2021년까지 건설되는 대구테크노폴리스 726만㎡에 인구 5만명의 에너지 자족도시도 추진한다. 에너지 자족도시는 한전 변전소를 통해 에너지를 공급받지 않고 태양광, 연료전지 발전, 스마트그리드 등을 통해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개념이다.

대구시는 그동안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가로막는 규제완화를 지속적으로 정부에 건의해 개발제한구역 내 풍력발전이 가능하도록 관련법을 개정했다. 올해 상반기에는 국가하천 부지 내 신·재생에너지 설치규정을 완화할 계획이다. 시는 국가하천 유휴 부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을 우선 추진해 낙동강 유휴부지 4개소에서 61㎿의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할 계획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2035년에는 정부 목표치를 넘어 선진국 수준인 20%까지 보급률을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홍석준 대구시 미래산업추진본부장은 “대구시는 신·재생에너지 보급 및 분산전원 확대, 민간자본을 활용한 민간발전사업, 에너지산업 신시장 창출 등을 통해 에너지 글로벌 허브 도시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대구=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