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 정년보장에 야근은 적고 급여는 공무원보다 많아
공채경쟁률 최고 250대1…"대기업보다 안정적 삶 택해"


대학 교직원이 갈수록 선호 직업이 되고 있다.

공채 시험 경쟁률이 수백대 일을 기록하는 일이 더는 놀라운 일도 아니다.

최근 치러진 대학 교직원 공채에서 한양대는 250대 1, 건국대 200대 1, 성균관대 200대 1, 숙명여대 150대1, 서울대 73.5대 1 등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공무원처럼 정년이 보장되는데다 급여 수준은 공무원보다 높다는 게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힌다.

특히 연장 근무가 많지 않아 '저녁이 있는 삶'을 누릴 수 있는 직업으로 알려져 최근 인기가 크게 올랐다.

지원자가 몰리다 보니 최근 서울대 교직원 공채에서는 '서울대 교직원 되는 것이 입학하기보다 어렵다'는 우스갯소리까지 나왔다.

◇ 서울권 대학 교직원 초봉 3천만원대…"중견기업 수준"

서울권 대학 교직원의 초임 수준은 학교마다 다르지만 대체로 중견기업 수준이다.

서울대는 초봉이 3천만원대 초반, 건국대는 3천900만원대라고 밝혔다.

이외 다른 대학은 자세한 액수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중견기업 수준이라고 한다.

작년 한국경영자총협회가 414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4년제 대졸 신입사원의 초임인 평균 3천481만원과 비슷하거나 조금 웃도는 정도다.

경총이 발표한 연봉을 기업 규모별로 보면 100∼299인 기업은 3천73만원, 300∼499인은 3천354만원, 500∼999인은 3천529만원, 1천인 이상은 3천823만원이었다.

대학 교직원 연봉은 대기업(1천인 이상)보다는 적고 중견기업(300∼999인 이상) 수준인 셈이다.

2천400만원꼴인 9급 공무원 초봉보다는 1천만원 정도가 더 많다.

복지도 대기업 수준은 아니지만 나쁘지 않다.

한국외대는 교직원이 해당 학교의 대학원을 진학하면 학자금을 100% 지원하고, 서울대, 건국대 등도 일부 선발을 통해 학자금을 지원한다.

자녀 학자금은 사학연금에서 대출받을 수 있다.

◇ 정년보장에 '저녁이 있는 삶' 즐긴다

일반 대기업보다 보수는 적지만 공무원과 마찬가지로 정년이 보장된다는 것이 가장 매력적이다.

자발적으로 퇴직을 신청하거나 큰 물의를 빚지 않는 이상 계속 다닐 수 있는 분위기다.

대부분 대학이 올해부터 정년을 만 60세로 연장했다.

경희대, 성균관대 등의 일부 직종은 만 61세까지 다닐 수 있다.

건국대 교직원 2년차인 안모씨는 "대기업과 교직원에 둘 다 합격했는데 대기업은 아무래도 오래 다니지 못할 것 같아서 안정적인 교직원을 택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직장의 고질병인 야근이나 주말 근무도 이들은 비켜간다.

한양대는 오전 8시 30분∼오후 5시 30분, 건국대와 숙명여대는 오전 9시∼오후 5시 30분, 그외 대학들은 대부분 오전 9시∼오후 6시가 정상 근무 시간이다.

야근이나 주말 근무는 거의 없다.

여성은 대부분 학교에서 출산과 육아와 관련한 휴가, 휴직을 눈치 보지 않고 쓸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특히나 정부기관과 공기업이 세종시 등 지방으로 옮겨 공무원의 지방행이 늘고 있지만 대학 교직원들은 이런 걱정도 없다.

서울대의 한 교직원은 "입학처나 일부 부서를 제외하고는 야근이나 주말근무는 거의 없다"며 "공무원보다 월급을 많이 받고 다른 지방으로 내려갈 일도 없으니 많이들 선호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 교수·학생 간 지위 문제와 학령인구 감소 등 악재도

교직원 생활이 마냥 편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이들은 학생과 교수로 대변되는 학교 사회에서 직원은 '신분 차별'을 겪는다고 토로한다.

한 사립대 교직원은 "대학 사회에서 교직원은 군대로 치면 부사관급"이라며 "주요 보직은 모두 교수가 차지하고 승진 한도도 정해져 있어 교수의 뒤치다꺼리만 하는 것 같아 상실감을 느낄 때가 많다"고 털어놨다.

지금의 근무 조건과 급여 등 대우 역시 계속 유지되리라는 보장은 없다.

사학연금이 부담률은 인상되고 지급률은 낮아지도록 개정돼 공무원연금과의 차별성도 없어지고 있다.

학령인구 감소로 교직원 수요 자체가 줄어드는 상황도 이들에게 예사롭게 보이지 않는다.

한 사립대 교직원은 "지금도 교직원 채용 수요가 거의 없어 경쟁률이 이렇게 높은데, 앞으로 학령인구가 감소하면 신규 채용은 더욱 적어질 수밖에 없다"며 "임금도 수년째 동결되고 있어 불만이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교직원은 "학령인구가 무섭게 줄어드는 데다 대학 진학률도 빠르게 줄고 있다"며 "앞으로 서울권 몇개 대학을 제외하고는 정년 보장 등의 대우가 무사히 이어질 것이라고 장담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