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제작소 설문…"근로기준법 위반 기업 처벌 강화" 목소리도

어떤 직업이 좋은지 판단할 때 임금이나 정규직 여부보다 적정 노동시간과 삶의 질 등 노동조건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희망제작소는 지난해 11월부터 지난달까지 네이버와 희망제작소 홈페이지에서 설문조사한 결과 설문참여자 1만5천399명 중 절반에 가까운 48%(7천320명)가 좋은 일의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근로조건'을 꼽았다고 17일 밝혔다.

정규직 여부에 해당하는 고용안정이 중요하다는 응답은 16%, 직무·직업 특성은 13%였으며, 임금은 12%에 불과했다.

지금 하는 일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도 만족하는 이유(25%)와 불만족한 이유(30%) 모두에서 '근로조건'을 든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특히 설문참여자의 39.9%는 "'좋은 일'의 기준에서 조건이 나은 직장이라면 임금이 지금보다 줄어도 옮길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연령별로는 20∼30대가 근로조건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꼽았고, 남성(43%)보다는 여성(52%)이 근로조건을 꼽은 비율이 높았다.

근로조건 중에서도 노동시간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됐다.

응답자의 35%는 '주 40시간 근로, 초과근무 시 법정 수당 이상 지급'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했고, '탄력근무 등 삶의 질 증진을 위한 부가적 근로조건 제공'(33%)도 비슷한 수준이었다.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가 없는 환경'(17%)과 '강제회식 등 프라이버시 침해 금지'(14%)를 꼽은 사람도 많았다.

고용안정 측면에서는 '정년보장 근로계약'(55%)이, 직무·직업 특성에서는 '적성에 맞거나 재미있는 일'(52%)이 중요하다는 응답이 과반이었다.

응답자들은 이와 같은 '좋은 일'이 널리 퍼지려면 '좋은 일의 기준 정립 및 확산'(19%)과 '근로기준법·차별금지법 위반 기업 감독·처벌 강화'(17%)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희망제작소는 "이번 조사에선 근로조건에 대한 정부의 관리감독과 처벌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현실에 대한 불만도 드러났다"며 "정부와 정치권은 '일자리 창출' 정책을 말할 때 '좋은 일'을 확산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권영전 기자 comm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