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11명 등 30여명 규모…수사 본격화하면 조직 확대될 듯

전국 단위의 대형 비리 수사를 전담할 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특수단)이 이번 주 정식 출범한다.

정치 중립성 논란으로 2013년 폐지된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중수부)가 부활했다는 평가도 있지만 규모가 중수부만큼 크지는 않아 일단 '미니 중수부'로 첫발을 딛게 됐다.

이달 13일 김기동 단장과 부장·부부장 검사가 먼저 발령받아 업무를 시작한 특수단은 평검사 인사발령 날짜인 이달 27일에 맞춰 정식 출범한다.

사무실은 서울고검과 서울중앙지검 별관에 나뉘어 차려졌다.

정식 출범에 맞춰 현판식을 여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진용을 완전히 갖춘 특수단은 김기동 단장을 필두로 1·2팀장인 주영환·한동훈 부장검사, 각 팀의 부팀장인 이주형·정희도 부부장검사에 평검사 6명이 합류해 총 11명 규모다.

평검사로는 나의엽·김용식 서울중앙지검 검사, 엄희준 부산지검 검사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수사관은 20명 정도 파견돼 검사와 수사관을 합한 인원은 30여명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일선 검찰청 특수부서 2개를 합한 것과 비슷하거나 작은 수준이다.

지난해 서울중앙지검 특수 1∼4부는 부장·부부장 포함 검사 8∼9명, 수사관 10∼14명 정도였다.

검찰총장의 직접 지휘를 받았던 중수부는 중수 1∼3과에 지원부서까지 갖춰 최대 인력은 100명 안팎으로 특수단보다 규모가 훨씬 컸다.

그러나 특수단도 수사가 본격화돼 수요가 생기면 전국에서 검사와 수사관 등을 추가 파견해 몸집을 키울 수 있어 중수부 못지않은 규모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검찰 관계자는 "인력을 자유롭게 끌어다 쓰는 것이 중수부의 장점이었는데, 특수단에서도 그런 점이 필요하다면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관심을 끄는 건 특수단의 '첫 타깃'이다.

특수단의 성과가 중수부 부활론에도 힘을 실어줄 수 있어 존재감과 정당성을 드러낼 수 있는 사안이 될 거라는 관측이 많다.

중수부 폐지의 주요 요인이었던 '정치 중립성 논란'은 피해가야 할 부분이다.

공적 자금이 투입된 민간기업의 비리나 대형 공기업의 부실 경영, 대형 국책사업비리 등이 타깃으로 꼽히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나 황교안 국무총리가 천명한 '부패 척결' 기조와도 맞닿은 부분이다.

두 팀장의 경력을 고려해 정치인을 비롯한 공직 비리, 대기업 비리도 거론된다.

주영환 팀장은 2011년 저축은행 비리 수사 당시 이상득 전 의원을 직접 조사했고, 지난해에는 '성완종 리스트' 관련 검찰 특별수사팀에서 활동했다.

재작년 세월호 참사 이후에는 '세월호 실소유주 비리 특별수사팀'에도 참여했다.

대기업 불공정 거래를 수사하고자 지난해 신설된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세조사부 초대 부장을 맡은 한 팀장은 중수부에서 2003년 SK그룹 분식회계 사건, 2006년 현대자동차 횡령·배임 사건 수사 등을 했다.

(서울연합뉴스) 최송아 기자 song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