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학생 많이 쓴 신조어는 '금수저·헬조선'
'올해의 사건' 메르스 사태, 역사교과서 국정화
'올해의 인물' 백종원… '대학가 이슈' 인분교수
'올해의 인물' 백종원… '대학가 이슈' 인분교수

대한민국 홍보 연합동아리 ‘생존경쟁’은 20대 대학생 2015명을 대상으로 한 해 동안 가장 많이 사용한 신조어를 조사한 결과 금수저가 31%로 1위를 차지했다고 24일 밝혔다.
금수저는 부유한 부모를 둔 사람이나 계층을 풍자하는 단어다. 좋은 환경과 조건을 갖고 태어난 금수저와 대비되는 단어로 ‘흙수저’가 있다. 최근 서울대생이 “생존을 결정하는 것은 수저 색깔”이란 유서를 남기고 투신자살해 다시 한 번 논란이 됐다.
한국 사회가 지옥 같다는 뜻의 헬조선(23.8%)이 2위에 올랐다. 3포(연애·결혼·출산)세대에서 비롯된 말로 더 많은 걸 포기해야 하는 청년세대를 가리키는 ‘N포세대’(12.8%), 취업이 잘 되는 대학 전공이나 조건 등을 의미하는 ‘취업깡패’(11.9%), “문과 학생이라 죄송합니다”의 줄임말인 ‘문송합니다’(10.1%) 등이 뒤를 이었다.

생존경쟁 동아리 자문교수인 한국홍보 전문가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빈익빈부익부 고착화 논란이 올해 대학가의 최대 화제였다”며 “순위권에 오른 신조어들을 보면 올 한 해 역시 우리 대학생들이 희망을 찾기 어려웠다. 우리 사회가 청년들에게 좀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기회를 주기 위해 더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학생들은 ‘올해의 사건’으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27.3%)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23.4%)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인천 어린이집 아동학대 사건, 비무장지대(DMZ) 목함지뢰 폭발 사건(이상 7.4%) 순이었다.
‘올해의 인물’은 요리연구가 백종원(21.2%)이 1위를 차지했다. 땅콩회항 갑질로 사회적 지탄을 받은 조현아 전 부사장(16.2%), 신곡 ‘제제’로 논란이 됐던 가수 아이유(11.1%), 여러 영화와 드라마에서 맹활약한 배우 유아인(9.2%)이 뒤를 이었다.
대학가에서 일어난 ‘올해의 이슈’로는 강남대 인분교수 사건, 이화여대 사복경찰 사태(이상 15.7%), 서울대 성소수자 총학생회장 당선(13.5%), 중앙대 음대생 따돌림 사건(11%) 등을 꼽았다.
자기기입식 조사방법으로 진행된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4.4%포인트다.
[LG V10, 美 출시 한달 반 만에 45만대…2030 취향저격], [박 대통령 '대학구조개혁법 처리' 강조 배경은?], ["이용자에 응답하라"…맞춤형 O2O 서비스 '생활 속으로'], [애플 방어 '조기 출시'…갤S7 · G5 병신년 정면승부?], ['황금알' 면세점 시장서 오너 2~4세간 '진검승부']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