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로 돈 버는 대학…600억 - 600억 시대
한양대 에너지공학과 연구팀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용량을 20%가량 늘릴 수 있는 소재 기술을 지난 7월 한 국내 대기업에 이전했다. 기술 소유권 통째가 아니라 사용권만 넘겼다. 계약금 성격의 선급 기술료 4억원을 받은 데 이어 내년부터 10년간 사용료 250억원을 받는다. 연구팀은 이 기업과 기술 상용화 연구도 진행 중이다.

최덕균 한양대 산학협력단장은 “상용화에 성공하면 소재 시장 점유율 80%를 차지하는 일본에 대한 의존도가 크게 낮아지고 기술이전 수입은 늘어난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대학의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 2003년 ‘산업교육 진흥 및 산학연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산촉법)’을 만든 지 10년을 맞아 한양대처럼 의미있는 성과를 내는 대학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국내 4년제 대학의 기술이전료 합계는 산촉법에 따라 대학이 산학협력단을 처음 만든 2003년 19억원에서 작년 517억원으로 10년 만에 27배 커졌다. 한석수 교육부 대학지원국장은 “기술이전 방식이 일회성에서 사용료를 받는 중장기형으로 바뀌는 추세여서 올해 기술이전료 합계는 600억원을 훌쩍 넘어설 것”이라고 말했다.

대학이 보유한 기술을 기반으로 기업(자회사)을 만들어 수익을 내는 대학 기술지주회사는 2008년 한양대와 강원지역대학연합 등 2개에서 5년 만에 25개로 늘어났다. 기술지주회사 자회사 매출 합계는 처음 집계한 작년 553억원을 기록했다. 교육부는 자회사 매출 규모가 올해 600억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대학들의 기술개발 성과는 해외 유명 대학과 비교하면 갈 길이 멀다는 평가다. 미국 기술이전료 1위 대학인 노스웨스턴대의 1억9154만달러(약 2000억원·2011년 기준)나 중국 칭화대 기술지주회사인 칭화홀딩스의 자회사 매출 합계 300억위안(약 5조2000억원·2009년 기준)과는 비교하기도 어려운 수준이다.

반도체 건식세정기술 등 10여건의 특허를 갖고 있는 유기풍 서강대 총장은 “기업이 찾아오지 않는 공대 교수는 교수 자격이 없다”며 “학교 발전을 위해서라도 교수들이 ‘논문을 쓰기 위한 연구’가 아니라 ‘돈이 되는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