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은 더 이상 단순한 생산의 공간이 아니다. 1차 산업을 2차 3차 산업으로 확장해 부가가치를 끌어올리는 현장이다. 정보기술(IT)과 바이오기술 등 ‘플러스 알파’를 결합하면 산업의 전후방이 더욱 두터워진다. 농촌 일자리를 만들어 공동체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도 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6차 산업화 활성화 대책을 추진하는 이유다. 정부는 2017년까지 매출 100억원 이상 기업 1000곳을 육성하고, 이를 통해 일자리 5000개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동필 농식품부 장관은 “농업·농촌의 6차 산업화로 현재 4.6%인 농외소득 증가율을 7.5%로 끌어올리겠다”며 “강력한 지원체계를 구축해 6차 산업 주체가 자생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농민은 농업에 종사하는 ‘사업가’

사업 다각화에 나선 농업인의 가장 큰 애로는 역시 자금 조달이다. 정부는 사전사업성 검토를 거쳐 성장 가능성이 높은 경영체·공동체를 6차 산업화 사업자로 인증하고, 농식품 모태펀드를 활용한 특수목적펀드를 조성, 이들에게 자본을 조달할 방침이다. 제품이 지역 내에서 소비될 수 있도록 현재 16개인 농산물종합가공센터도 점진적으로 늘려가기로 했다.

현재 농업 관련 일반법인은 약 1만700개다. 매출이 100억원 이상인 곳은 300개 안팎에 그친다. 6차 사업화에 성공한 농업기업법인의 사례도 아직 적다. 농식품부가 6차 산업화 성공사례로 제시한 35개 사업체 중 ‘문경 오미자’ ‘제천 한방바이오밸리’(이상 지자체), ‘보령 돼지마블로즈’(기업법인) 세 곳을 제외하면 나머지 32곳의 연 매출 평균은 14억원 정도다. 갈 길이 먼 셈이다.

양승룡 고려대 식품경제학과 교수는 “관광과 가공 등으로 1차 산업 체제를 6차 산업으로 전환한다는 방향은 맞다”며 “농업, 제조, 서비스를 합치는 수익 모델을 구체적으로 만들기란 쉽지 않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농업인의 인식 변화도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농민을 농업에 종사하는 ‘사업가’로 보고 마케팅과 전략 능력을 키워줘야 한다는 설명이다.

농촌관광 활성화·여성농업인 양성 필요

농촌 관광 활성화는 중요한 열쇠다. 이훈 한양대 관광학부 교수는 “내국인 관광객뿐 아니라 외국인도 농촌을 찾게 만드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며 “명소 중심의 관광을 넘어 골목투어나 시장투어, 농촌관광마을 등과 연계된 ‘일상형’ 관광상품을 개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여성 농업인의 힘도 필요하다. 명정식 농협안성교육원 교수는 “국제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여성 역량의 강화로 농업생산성을 20~30% 향상시킬 수 있으며, 총국가농업생산량은 2.5~4% 증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여러 부처로 분산된 농촌산업화 지원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평가와 컨설팅, 모니터링 등 정책 추진을 뒷받침하기 위한 중간 지원 조직을 양성하고 지원 체계를 일원화하겠다”고 밝혔다.

■ 6차 산업

1차 산업인 농림수산업과 2차 산업인 제조·가공업, 그리고 3차 산업인 서비스업을 융·복합화로 결합시킨 산업을 일컫는다. 6이라는 숫자는 1+2+3의 결과다. 6차 산업은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재직 시절부터 주창한 개념으로, 박근혜 정부의 국정과제로 선정됐다.

세종=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