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출처=윤미향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표 페이스북
사진출처=윤미향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표 페이스북
해외에서는 처음으로 미국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비극을 알리는 '평화의 소녀상(이하 소녀상)'이 세워졌다. 현재 서울 주한 일본 대사관 맞은편에 설치된 '소녀상'과 같은 모습으로 일본군의 만행을 설명하는 석판이 함께 새로 공개됐다.

가주한미포럼(대표 윤석원)은 30일(현지시간) 로스앤젤레스 인근 글렌데일 시립 중앙도서관 앞 시립 공원에서 소녀상 설치를 알리는 제막식을 거행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생존한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88) 할머니 및 소녀상 제작자 김운성·김서경 작가 부부, 글렌데일 시의원 4명, 한인 단체 회원 및 지역 한인 등 500여명이 참석했다. 특히 일본계 주민들도 행사에 나와 일본 정부의 반성을 함께 촉구해 눈길을 끌었다.

생존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 할머니는 "미래에 평화로운 세상을 물려주려면 일본이 먼저 과거를 진심으로 반성하고 사죄해야 한다"면서 "이 소녀상을 보면서 많은 미국인이 일본의 만행을 제대로 알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사진=서울 주한일본 대사관 앞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 모습. 맨발인 소녀상 옆에 한 시민이 노란 구두 한켤레를 놓아두었다.
사진=서울 주한일본 대사관 앞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 모습. 맨발인 소녀상 옆에 한 시민이 노란 구두 한켤레를 놓아두었다.
소녀상이 해외에 세워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젠 고령의 할머니가 된 일본군 위안부의 삶을 위로하는 상징물이 특히 미국 지방정부 공공부지에 들어선 것도 처음이다.

글렌데일 시정부는 그간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에 각별한 관심을 보여왔다. 연방 하원이 의결한 위안부 결의안과 같은 내용의 시의회 결의안을 채택한데 이어 매년 7월30일을 '일본군 위안부의 날'로 지정해 시민들의 관심을 독려해왔다. 이날 제막식 행사도 시의 '일본군 위안부의 날'에 맞춰 진행됐다. 소녀상 건립에 함께 앞장선 프랭크 퀸테로 시의원도 연단에 이날 행사 연단에 올라 일본 정부에 진정한 사과와 반성을 재차 촉구했다.

가주한미포럼 윤석원 대표는 "앞으로 미국 전역의 공공부지에 더 많은 일본군 위안부의 비극을 알리는 시설을 세우겠다"고 밝혔다.

한경닷컴 김민성 기자 mean@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