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25만대 택시 운행 중단, 1시 서울광장 집회

택시업계가 생존권 보장을 촉구하며 20일 하루 총파업에 돌입했다.

전국 택시 노사는 이번 파업에 전국 250여개 회사 소속 법인택시와 16만5천여대인 개인택시 등 택시 25만대의 대부분이 동참했다며 택시산업 대중교통화와 LPG가격 인하 등 구제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이날 출근길 시민들은 택시 파업소식에 버스와 지하철을 평소보다 많이 이용했으나 택시 파업 소식을 뒤늦게 접한 시민 일부는 지각 출근하기도 했다.

이미 이날 0시부터 대부분의 개인택시는 운행을 중단했고, 일부 법인 택시들은 새벽 4시께 교대 시간까지는 운행했으나 이후부터는 운행을 중단, 출근길 도로에서 택시를 찾아보기 어려웠다.

평소 오전 6시30분께 반포동에서 택시로 광화문의 회사로 출근한다는 회사원 김모(45)씨는 "매일 출근시간이면 동네 사거리에 택시 5∼6대가 줄지어 기다리고 있었는데 오늘 아침엔 한 대도 없어 지하철을 탔다"고 말했다.

오전 7시께 용산에서 을지로까지 택시로 출근해온 회사원 강모(36)씨는 "택시 정류장에서 택시를 한참 기다려도 오지 않아 뒤늦게 버스를 타는 바람에 30분 지각했다"며 "회사까지 가는 동안 도심에서 택시가 한 대도 안 보여 파업을 진짜 하는구나 싶었다"고 말했다.

이날 출근길은 택시 파업으로 평소보다 버스와 지하철이 붐비긴 했지만 교통 당국의 비상수송대책 등으로 큰 혼란은 없었다.

자가용으로 출근하는 회사원 김모(36)씨는 "택시가 없어서인지 평소보다 길이 덜 막혔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날 자정까지 파업이 계속될 예정인 것을 감안해 퇴근길을 서두르겠다는 시민이 많았다.

회사원 정모(50)씨는 "오늘 같은 날은 저녁 술자리가 길어지면 택시를 잡기가 어려울 것 같아 회식을 미뤘다"며 "지하철이나 버스가 많이 붐비기 전에 일찍 귀가하자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서울시는 버스와 지하철을 1시간씩 연장운행키로 했고 버스는 998회, 지하철은 255회 증회했다.

부산시는 버스 204대를 추가 투입하고 운행시간을 1시간 연장하며 지하철도 128회 증편했다.

코레일은 수도권 시민의 출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광역철도 9개 노선과 공항철도에서 전동열차를 추가 투입해 출근시간대와 심야시간대에 운행했다.

부산, 대구, 인천 등 지자체들은 파업에 참여하지 않은 택시가 운행할 수 있도록 부제를 해제하고 승용차 요일제도 해제했다.

택시 노사는 이날 오후 1시 서울광장에서 2만여명이 참가하는 '택시 생존권 사수 결의대회'를 열고 정부와 정치권을 향해 법적ㆍ제도적 개혁을 촉구한다.

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 전국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 전국민주택시노동조합연맹은 ▲택시를 대중교통으로 인정키로 한 대통령 공약사항 즉각 이행 ▲LPG 공급사들의 과도한 이익추구 규탄ㆍ최고가격제 이행 ▲택시 공급과잉 해소책 마련 ▲택시연료 다양화 및 택시요금 현실화 등을 요구한다.

택시 노사는 미리 배포한 성명서에서 "택시 25만대가 여객 수송의 47%를 담당하고 있지만 택시 종사자 30만명과 가족 100만명은 사상 유례없는 경영난과 운전자 생계곤란을 겪고 있다"며 "100년 택시 역사상 초유의 택시운행 중단은 택시산업이 한계점에 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특히 "대도시 택시운전사가 월 평균 120여만원의 임금을 받는 현실에서 LPG가격 폭등으로 25만∼30만원을 추가부담해야돼 생존권을 위협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택시 노사는 "정부와 국회가 택시단체들의 절박한 외침을 또다시 외면할 경우 10월 대규모 집회를 열고 12월에 총파업을 하는 등 강력한 대응에 나서겠다"고 경고했다.

(서울연합뉴스) 조채희 기자 chaeh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