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대학의 교육이 기업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이유로 ‘후진적인 대학 교육’을 꼽는다. 시대와 기술 트렌드에 맞춰 교육과정이 유기적으로 변하는 선진국 대학들과 달리 한국의 대학들은 교수에 맞춰 커리큘럼이 짜여지는 ‘우물 안 개구리’식의 폐쇄적인 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다.

송성진 성균관대 공학교육혁신센터장은 “효율적인 산업인력 양성을 위해선 대학이 기업에 문호를 개방하고 시대 흐름에 맞춰 교육과정을 유연하게 바꾸는 시스템을 정착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김용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장도 “고학력 실업자 양산을 막기 위해선 대학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며 “선택과 집중을 통해 경쟁력을 갖춘 대학만 살아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도 많다. 나경환 한국생산기술연구원장은 “일부 공과대 중심으로 제한된 산학협력 프로그램이 전체 대학으로 퍼져야 대학교육의 사회적 손실을 줄일 수 있다”며 “기술뿐만 아니라 경영 인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업의 실무 경험이 대학에 이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도 뒤늦게 산학협력 성공 모델을 만들기 위한 본격적인 작업에 착수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다음달 말까지 지역산업과 연계한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50개를 선정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대학교육 시스템을 산학협력 친화형으로 개선하기 위해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인재양성사업, 산학협력 중심대학 육성사업 등 여러 산학협력 지원사업을 통합한 것이다. 올 한 해만 17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교과부는 대학의 신청을 받아 수도권 충청권 동남권 대경권·강원권 호남권·제주권 등 5개 권역별로 기술혁신형 15개 내외 대학, 현장밀착형 30개 내외 대학 등 총 50개 대학을 선정할 예정이다. 정량지표 평가와 산업체 설문조사를 거쳐 지원 대학이 최종 선정되면 기술혁신형 대학은 매년 평균 30억~50억원 내외, 현장밀착형 대학은 20억~40억원가량의 지원금을 받게 된다.

업계 관계자는 “LINC 사업이 대학들의 ‘예산 따먹기’ 경쟁으로 변질되지 않기 위해선 선정 과정에서 각 대학의 연구 역량과 지역 산업 간 시너지 등 엄격한 기준이 적용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호/김주완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