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는 찰떡공조..한.중은 갈등조짐
中 반대시 천안함 외교 기상도 불투명


천안함 대응을 둘러싸고 한반도 외교지형에 심상찮은 전선이 그려지고 있다.

20일 한국 정부의 조사결과 공식발표를 앞두고 미국은 한국 정부에 대해 전폭적 지지의사를 표명한데 반해 중국은 조사결과에 의구심을 표하는 기류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G2(주요 2개국)의 엇갈린 기류는 조사결과 발표 이후 천안함 대응을 둘러싼 본격적인 입장차로 발전할 공산이 크다는 점에서 우리 정부의 '천안함 외교'는 중대한 변수에 직면한 형국이다.

일단 한.미의 공조 스탠스는 양국 정상이 조사결과 발표를 이틀 앞두고 18일 오전 9시부터 25분간에 걸쳐 장시간 전화통화를 가진데서 뚜렷이 확인됐다.

특히 오바마 대통령은 통화에서 "미국은 한국 정부의 대응과 국제조사단의 조사 활동을 전적으로 신뢰하며 지지한다"고 밝혔다.

이는 이번 사건을 동맹국에 대한 중대한 안보위협으로 간주하고 있는 워싱턴의 기류를 반영하고 있다는게 외교가의 지배적인 분석이다.

따라서 향후 대응과정에서 한국과 보조를 맞춘 미국의 '단호한 대응' 조치를 예고하고 있다는 관망이 나온다.

이에 반해 이번 조사결과 발표와 한국 정부의 대응움직임을 바라보는 중국측의 시선은 소극적으로 돌아가는 분위기다.

이런 기류는 장신썬(張흠<金 3개>森) 주한 중국대사가 17일 민주당 정세균 대표를 예방한 자리에서 여실히 드러났다.

장 대사는 "북한으로부터 이번 사건과 북측은 무관하다는 입장을 전달받았다"며 "확실한 증거가 나오기 전에 억측은 자제해야 한다.

지금까지 공개된 자료를 보면 누구의 소행인지 확실한 증거가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장 대사의 이 같은 발언에 어느정도의 정치적 무게감이 실려있는 지는 미지수이지만 중국 외교의 특성상 중국 정부가 앞으로 취할 대응기조를 알리는 '전조'의 의미를 띠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한국 정부의 조사결과가 나오더라도 이를 적극적으로 평가할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앞으로 우리 정부가 구상하는 외교적 대응의 초점은 중국쪽으로 맞춰질 수 밖에 없어 보인다.

정부의 기본 구상은 '미국과의 공조'를 바탕으로 '중국의 지지'를 얻어 천안함 사건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무대로 끌고가겠다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정부로서는 미국과의 찰떡공조를 과시함으로써 '절반의 성공'을 거뒀지만 중국의 지지 여부는 또 다른 관문으로 여전히 남아있는 셈이다.

현 단계에서 중국은 천안함 사건을 국제 안보무대로 끌고가려는 우리정부 구상의 현실화 여부를 좌우할 국가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인 중국이 어떤 자세를 내보이느냐에 따라 안보리 무대에서 알맹이 있는 대북제재가 현실화될 지 여부가 좌우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현재 정부는 조사결과 발표 하루전인 19일 장신썬 대사를 외교부 본부로 불러 조사결과와 향후 대응계획을 사전 브리핑함으로써 중국의 협조를 끌어내는데 외교력을 집중할 방침이다.

외교가에서는 남.북한을 등거리로 '관리'하려는 중국 외교의 특성상 중국정부가 급작스럽게 입장을 변화할 가능성이 현실적으로 크지 않다는 관측이 높다.

다만 중국으로서도 우리 정부가 북한의 소행임을 입증하는 결정적 물증을 제시하고 그에 따라 국제사회의 대북 강경기류가 조성될 경우 운신의 폭이 크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천안함 대응을 둘러싸고 커지는 미.중간의 대립각 속에서 우리 정부의 천안함 외교는 중대한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

(서울연합뉴스) 노효동 기자 rh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