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약수터나 샘터 등 먹는물 공동시설 서너 곳 중 한 곳은 일반세균, 총대장균군 등이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해 마시기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인천은 부적합률이 45% 안팎으로 나타날 정도로 수질이 심각했다.

환경부는 올해 3분기 전국 먹는물 공동시설 1천578곳에 대해 각 지방자치단체가 매달 1회씩 총 4천612건의 검사를 한 결과, 1천350건(29.3%)이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24일 밝혔다.

먹는물 공동시설이란 여러 사람에게 먹는물을 공급할 목적으로 개발했거나 저절로 형성된 약수터, 샘터, 우물 등을 말하며 상시 이용인구가 50명 이상이거나 50명 미만이라도 수질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 지정되는 시설이다.

조사 결과,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한 1천350건의 대다수인 1천336건이 일반세균, 총대장균군 등 미생물 기준을 넘겼다.

부적합률은 인천 46.2%(72건), 서울 45.5%(422건), 대구 36.4%(12건), 부산 35.4%(202건), 경기 32.6%(421건), 울산 32.0%(8건) 등 인구밀집 지역이 높았고 제주(0%), 전남(4.4%), 경북(6.3%), 강원(8.9%) 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장은 수질검사 결과를 공개하고 사용중지·금지, 시설폐쇄(17곳) 등의 개선조치를 내리는 한편 일부 시설에는 미생물 살균기를 설치했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3분기 기준초과율은 2007년 33.3%, 2008년 29.7%, 2009년 29.3% 등으로 조금씩 떨어지고는 있으나 올해 들어서는 1분기 13.4%, 2분기 15.9%보다 높아져 비가 자주 와 주변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등의 계절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환경부는 먹는물 공동시설 수질 개선을 위해 관리대상, 관리방법 등을 강화하는 내용의 먹는물관리법 개정안을 국회 제출한 상태이다.

(서울연합뉴스) 강의영 기자 keyke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