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 제품 기준 이내" 서울시 "8.5% 기준 초과"

중앙부처와 광역자치단체 산하 전문 분석 기관이 각각 실시한 생수(먹는샘물) 제품의 브롬산염 성분 분석 결과가 달라 논란이 일고 있다.

브롬산염은 동물에 대한 발암성은 확인되지만 인체에 대한 발암 근거는 부족한 '잠재적 발암물질'로 국제암연구기관(IARC)이 분류하고 있으며, 브롬이온이 함유된 원수를 오존 처리하는 과정에서 주로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는 지난달 12일부터 17일까지 국내에서 유통 중인 157개 생수(먹는샘물) 제품을 거둬들여 브롬산염의 함유량을 분석한 결과 모든 제품이 기준을 충족했다고 24일 밝혔다.

환경부는 157개 제품(국내산 150개, 수입 7개) 중 33개(제조 31개, 수입 2개)에서 브롬산염이 검출됐으나, 그 농도는 최대 0.0065mg/ℓ로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기준과 국내 수질기준 0.01mg/ℓ를 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올해 9월4일 브롬산염 수질 기준을 설정한 이후 먹는샘물의 브롬산염 함유 여부를 확인하려고 특별 수거검사를 했다고 밝혔다.

환경부의 특별 수거검사 계획에 따라 시도는 먹는샘물 제조(수입판매) 업체를 직접 방문해 생산된 제품을 수거한 뒤 '먹는물 수질공정시험기준'의 먹는물 브롬산염 분석방법에 따라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에서 분석했다.

그러나 환경과학원의 분석 결과가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의 최근 조사 결과와 달라 논란이 일고 있다.

앞서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9월14~24일 서울 시내에 유통 중인 47개 생수 제품의 성분을 조사한 결과, 8.5%인 4개 제품에서 국내 기준치를 초과한 브롬산염이 검출됐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해당 제품의 브롬산염 농도는 각각 0.0155㎎/ℓ, 0.0185㎎/ℓ, 0.0132㎎/ℓ, 0.0237㎎/ℓ로 기준치보다 최대 2.3배까지 높았다.

한 달 정도의 시간 차는 있지만 분석기관에 따라 브롬산염 성분 분석 결과가 완전히 달라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것은 물론 소비자 혼란을 가져오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환경부는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의 조사에서 브롬산염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난 생수 4개 제품 중 3개 제품은 각각 3월과 5월에 생산된 제품으로, 브롬산염 기준이 설정되기 이전에 제조된 제품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기준 설정 전이라도 이들 3개 제품은 여전히 시중에 유통되고 있어 국민이 마실 가능성이 큰데도, 환경부 발표대로라면 소비자는 시중의 모든 생수 제품이 브롬산염으로부터 안전하다고 혼동할 소지가 크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더욱이 기준이 만들어지고 나서 생산돼 서울 시내에서 버젓이 유통되는 생수 1개 제품에서는 브롬산염이 기준치 이상 함유된 채 소비자를 기다리는 상황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권선택 자유선진당 의원은 11월 열린 환경부 국정감사에서 브롬산염이 기준치를 초과한 생수 중 65%만이 수거됐으며 나머지 제품은 그대로 유통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환경부 물산업지원팀 관계자는 "환경과학원이 먹는물 브롬산염 분석 관련 고시에 정해진 대로 분석을 했을 뿐"이라면서 "국내 최고 분석기관의 연구결과라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고 말할 수는 없다"고 해명했다.

(서울연합뉴스) 국기헌 기자 penpia21@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