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서비스 산업의 부가가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 가운데 꼴찌 수준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29일 삼성경제연구소 손민중 연구원의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1990년 이후 서비스업의 고용증가율은 2000년을 제외하고 모두 제조업 고용증가율을 웃돌면서 국내 일자리 창출을 주도했다.

2007년 기준 서비스업 고용이 전체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6.7%로 OECD 30개국 가운데 20위였다.

손 연구원은 "소득수준을 고려한 적정 고용 비중은 65.4%로 계산돼 우리나라의 실제 고용 수준은 전체적으로 낮은 게 아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고용의 질이 문제였다.

2007년 구매력평가(PPP) 환율 기준 서비스업의 부가가치가 국내 총 부가가치(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5.0%로, OECD 30개국 가운데 29위였다.

서비스 종사자의 노동생산성을 나타내는 인당 실질부가가치(PPP 환율 기준) 역시 1명당 3만5천 달러로 OECD 30개국 가운데 28위에 머물렀다.

OECD 평균은 5만2천 달러였다.

서비스업의 인당 실질부가가치는 룩셈부르크가 9만2천900달러로 가장 높았고, 미국(7만1천900달러), 이탈리아(6만5천700달러) 순이었다.

한국 서비스업 종사자의 생산성이 미국의 절반에 불과하다는 뜻이다.

특히, 일부 업종은 고용의 양과 질 모두 뒤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5가지 주요 서비스 업종을 OECD 국가들과 비교한 결과 도소매ㆍ음식숙박업과 금융ㆍ보험업이 `저고용ㆍ저부가가치' 유형으로 분류됐다는 것이다.

법무ㆍ연구개발ㆍ정보처리 등 사업서비스와 교육ㆍ행정ㆍ보건 등 사회서비스는 고용 수준은 높지만 부가가치가 낮은 유형으로 분류됐으며, 통신서비스만 고용의 양과 질 모두 높았다고 손 연구원은 밝혔다.

그는 "도소매와 음식숙박업은 투자 확대를 위한 대안이 시급하고, 금융업은 규제를 완화와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해 해외 진출을 모색해야 한다"며 "사업서비스는 대형화와 집적화를 추진하고, 사회서비스는 가격규제를 완화하되 저소득층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 보완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홍정규 기자 zhe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