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지않은 미래의 변화상으로 정당과 국가,1부1처 가족제도 등이 사라질 것이라는 예측이 최근 인터넷 자료의 한 귀퉁이에 있었다. 사실 결혼이나 가정만 해도 확고한 삶의 방식처럼 보이지만 인류역사로 볼 때 지금의 형태는 그리 오래된 제도가 아니다. 가족해체와 같은 전망이 새로운 것도 아니다. '아내나 자식의 공유'는 2400년 전 플라톤 시대에 벌써 제기된 주장이다. 가정만큼이나 중요한 직업과 일자리의 미래는 어떨까. 모두의 관심사이지만 역시 앞날은 예측 불허다. 취직공부만 한다고,사회적 연구가 많다고 정확히 내다본다는 보장이 없다. 그렇다고 그런 노력조차 않는다면 다가올 미래사회에 완전히 뒤처진다. 결국 미래를 전망하자면 제대로 봐야 하는데 이게 매우 어렵다는 것이고,이는 단순한 지식보다 지혜의 영역에 가깝다고 정리될 만하다.

대졸자들의 취업상황을 보여주는 최근의 통계자료는 이런 시각에서 시사점이 많다. 청년들의 일자리는 더이상 당사자 개개인의 일이 아니다. 젊은이들 대다수의 문제이자,이들 가정의 숙제이며,그 가정들로 구성된 국가사회의 최대 과제다. 교과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대학 등 '고등교육기관' 518개를 조사한 자료를 보면 올해 대졸자의 고용은 사상 최악이다. 정규직 취업률은 39.6%.1년 새 8.4%포인트나 내려갔다. 대학 측 자료를 바탕으로 했을 이 통계의 정규직이란 것부터 전적으로 믿을 수 없지만 이 문제는 별도로 치더라도 비정규직 취업비율이 급등한 것은 분명하다. 중소기업의 청년인턴사업과 같은 정책이 내버려두면 정규직을 뽑을 기업들조차 비정규직 채용 쪽으로 유도하지는 않았나 하는 반성도 해볼 수 있다. 그러나 근본문제는 취업률부터 취업의 질까지 한결같이 나빠진다는 점이다. 통계청의 2030세대 취업자 집계도 올해 953만명으로 1990년 이후 최악이다.

이런 고용현상을 어떻게 받아들이고,어떻게 대비해야 하나. 이것이 우리 모두의 숙제다. 우리 경제가 저성장 궤도에 접어들면서 어쩔수 없는 현상이라고 해버리기엔 너무 문제가 심각하다. 단순인력은 밀리고 전문지식의 수요가 중시되는 선진경제라는 게 이처럼 무섭다. 국가 행정력의 총동원이든,사회적 대협약이든 좀더 큰 틀의 근본책이 필요한 이유다.

특히 청년실업이 뇌관이라는 우울한 예측은 새삼스런 게 아니다. 지금 걱정은 이 전망이 당분간 더 유효하며,5년이 될지 10년이 될지 해소시점도 알 수 없다는 점이다. 더구나 고등교육기관 졸업자는 올해 55만명.이를 보면 사방에 널린 대학을 고등교육기관이라 말하기도 민망하다. 상당수는 곧 기초교육기관으로 전락해 장노년층의 재교육장으로나 명목을 이어가야 할지 모른다. 그럼에도 지금 10대들은 '국영수'학습에 몰두하고,학부모도 은퇴 이후는 포기한 채 입시만 지원하는 게 합리적인 선택일까.

대학생은 물론 중고생들도 인식을 바꿔야 할지 모른다. 가령 직장에 들어간다는 좁은 의미로 취직(就職) 목표 대신 나만의 일,취업(就業)을 미리미리 준비하는 게 나을 것이다. 지금 월급 많다는 직장,유수 기업에 들어가려 온갖 준비를 다하지만 이런 일터 2030세대의 높은 이직률은 놀랄 수준이다. 취업이 당장은 더 어려울 수 있지만 그래도 취직처럼 상대평가식은 아니다. 학과공부도 벅찬데 미래예측까지 해야 하니 학생 학부모 모두 힘들다. 그래서 일자리확대와 직업찾기는 시대적 고민거리다.

허원순 논설위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