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처미흡으로 생존율 2.4% 불과

심장마비가 공공장소보다는 가정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주변 사람이 심폐소생술을 하지 못하고 구급대원의 대처도 미흡해 생존율은 선진국에 크게 못 미치는 2.4%에 불과했다.

24일 보건복지가족부에 따르면 심장발작, 외상 등으로 심장이 정지되는 심정지 및 심뇌혈관질환의 발생 규모, 특성에 대한 조사감시 결과 심정지 환자는 2006년 1만 9천477명, 2007년 2만 356명으로 인구 10만 명당 40-42명 발생했다.

발생지역은 가정(58%)이 공공장소(26.6%)의 배 이상이었으며 심장마비로 인한 사망률은 93.8%에 달했다.

생존율은 2.4%에 불과, 미국(8.4%), 일본(10.2%)과 큰 격차를 보였다.

구급차 도착시간(7.8분), 병원 이송시간(24.5분)은 양호한 반면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실시율(1.4%), 구급대원의 자동제세동기 실시율(9.4%)이 미흡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심정지의 주요 원인질환인 심근경색증 등록자료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8.1%의 환자가 숨졌다.

증상이 나타난 뒤 병원까지 도착하는 시간이 88분인 119구급차를 선택한 경우보다 241분이 소요되는 다른 이동수단을 이용한 것이 사망률을 높인 이유로 분석됐다.

뇌졸중은 7.5%의 환자가 사망했으며 중증의 장애가 나타나는 비율이 29.8%로 높았다.

증상 발생 후 응급실까지 도착하는 시간은 절반 이상(52.8%)이 6시간으로 이상으로 치료 가능한 기준시간(3시간 이내)을 크게 초과했다.

119신고까지의 시간도 오래 걸려 1시간 이내가 51.8%에 그쳤고 구급차 이용률도 30.6%에 불과했다.

복지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심정지 및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 응급처치에 대한 교육·홍보 예산을 올해 9억 원에서 내년 39억 원으로 크게 확대키로 했다.

또 일반인도 쉽게 쓸 수 있는 자동제세동기의 설치 확대, 119구급대에 지도의사 배치 시범사업, 구급차량 및 전문장비 보강, 권역별 심뇌혈관질환 센터 9곳(기존 6곳)으로 확대, 전문응급의료센터 28곳에 대한 지원 강화 등을 추진키로 했다.

(서울연합뉴스) 유경수 기자 yk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