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철 산에서 자라는 야생 독버섯을 식용으로 잘못 알고 먹었다가 중독되는 사례가 많아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15일 산림청에 따르면 싸리버섯, 뽕나무버섯, 송이, 능이, 느타리 및 노루궁뎅이 등 식용 버섯으로 잘 알려진 버섯들은 여름이 끝날 무렵부터 초가을에 가장 많다.

이들 버섯류는 일부 독버섯과 유사해 채취해서 먹을 때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버섯은 총 1천550여종으로, 이중 식용과 약용 버섯은 400여종(26%), 독버섯은 160여종(10%)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나머지 990여종(64%)은 식용인지 독버섯인지 불명확하다.

독버섯에 의한 중독사고는 1990년대에 비해 2000년 이후 절반 정도 줄었지만 매년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과거 우리나라의 치명적인 독버섯 중독사고 원인은 마귀광대버섯, 독우산광대버섯과 흰알광대버섯 등에 의한 것이었고 최근에는 개나리광대버섯, 붉은사슴뿔버섯, 노란다발 등의 버섯 중독사고도 발생하고 있다.

식용버섯과 독버섯은 모양이 비슷한 것이 많아 일반인들이 쉽게 구분하기 어렵고 전해내려오는 버섯에 대한 상식과도 다른 면이 많다.

독버섯 중독사고를 줄이려면 확실히 아는 신선한 버섯만 채취해 먹고 민간에 전해 오는 식용버섯과 독버섯의 잘못된 구별법을 맹신해선 안 된다.

또 버섯 중독은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버섯을 먹고 두통, 구토, 뱃속 메스꺼움 등을 느끼면 바로 병원을 찾아야 한다.

독버섯은 화려하며 벌레가 먹지 않고, 은수저를 검게 변화시키고 소금물에 절이면 독이 없어진다는 것 등이 버섯에 대한 잘못된 대표적 상식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독버섯에 대한 잘못된 상식을 믿고 야생버섯을 먹는 것은 위험하다"며 "잘 모르거나 애매한 것은 채취하지 않는 것이 독버섯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대전연합뉴스) 정찬욱 기자 jchu2000@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