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先 조직안정-後 제도개선' 수순될듯

김준규 검찰총장 내정자가 `변화'를 일성으로 언급하면서 `김준규號' 검찰에 강도높은 개혁의 바람이 몰아칠지 주목된다.

검찰이 장기간의 지휘부 공백 사태에 시달렸다는 점에서 무엇보다 조직의 안정이 우선이겠지만 `박연차 게이트' 수사 실패를 계기로 개혁 요구가 거세진 상황임을 감안할 때 김 내정자가 말한 변화가 어떻게 구체화할지 관심사다.

김 내정자는 내정 소감에서 "검찰이 상처를 많이 받은 상황"이라면서도 "이제는 검찰이 변모가 필요한 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그가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해 총장에 임명되면 일단은 잇단 악재로 동요해온 조직을 추스른 뒤 본격적인 개혁작업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도덕성 시비로 낙마하긴 했지만 천성관 전 검찰총장 후보자의 기수를 뛰어넘은 발탁에도 인적쇄신을 통한 고강도 개혁에 방점이 찍혔던 것으로 해석됐다.

김 내정자가 주미대사관의 법무협력관을 지냈고 국제검사협회(IAP) 부회장을 맡는 등 `국제통'이란 점에서 선진국의 제도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면서 기존의 수사관행을 합리적으로 개선해 나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청와대가 김 내정자의 선택에 대해 "검찰을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게 개혁할 수 있는 인물로 판단된다"고 밝힌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된다.

검사의 전문 분야를 기획통과 수사통으로 나눌 때 김 내정자는 전자로 분류된다는 점 역시 제도 개선에 무게가 쏠릴 것임을 짐작하게 한다.

검찰 내부에서도 김 내정자가 수사 경험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을 우려하면서도 수사로는 얻기 힘든 국제적 안목을 갖췄다는 점에 기대를 거는 분위기다.

김 내정자는 검찰 조직의 쇄신 방향에 대해 "조직과 사람의 문제가 아니다.

검찰의 업무자세나 마음가짐을 후진국형에서 선진국형으로 바꿔 수준을 높여야 한다"면서 제도 개선에 주력할 방침임을 시사했다.

그러나 대검 중수부 폐지론에 대해서는 즉답을 피하는 등 검찰 외부에서 제기하는 각종 요구에는 내부의 의견을 수렴해 신중하게 접근할 것임을 내비쳤다.

(서울연합뉴스) 백나리 기자 nari@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