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년 `정상'에서 2007년 `과체중'으로 변화
10년새 몸무게 男 2.6㎏, 女 1.6㎏ 늘어


10년새 한국인의 비만지수가 `정상'에서 `과체중'으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 기간 평균체중이 남자는 2.6㎏, 여자는 1.6㎏가 불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충남대의대 예방의학교실 조영채 교수팀과 건강보험공단 연구팀은 1997년부터 2007년 사이 총 6회(2년에 1회)에 걸쳐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406만명 가운데 성별.연령별.지역별 대표성을 가진 5천420명(남 4천556명, 여 864명)을 상대로 10년간 비만수준 변화도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분석결과를 담은 논문은 대한비만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논문을 보면 남성의 경우 평균체중이 1997년 66㎏에서 68.6㎏으로 2.6㎏ 증가했으며, 여성도 97년 54.9㎏에 그쳤던 평균체중이 10년만에 56.5㎏으로 1.6㎏가 늘었다.

증가폭은 남성이 여성보다 컸다.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눠 비만도를 가늠하는 체질량지수(BMI)는 남성이 1997년 22.9에서 2007년에는 23.9로 1㎏/㎡가 증가했다.

`아시아 태평양 기준'에 따르면 BMI 수치는 남녀 모두 18.5 미만이면 저체중, 18.5~22.9 사이면 정상(표준), 23~24.9 사이면 과체중, 25~29.9 사이면 비만, 30 이상이면 고도비만으로 분류된다.

이 기준대로라면 한국 남성은 10년만에 몸무게가 표준에서 과체중이 된 셈이다.

여성의 경우도 1997년 BMI가 22.3이었지만 2007년에는 23으로 0.7㎏/㎡가 늘어 과체중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분석됐다.

10년간 연도별 비만수준을 보면 남성의 경우 저체중군과 정상체중군이 1997년 각각 2.9%, 49.2%에서 2001년 2.8%, 40.5%, 2007년 2.1%, 35.0% 등으로 연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반면 과체중군과 비만군은 1997년 26.3%, 21.6%에서 2001년 26.9%, 29.8%, 2007년 29.5%, 33.4%로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1997년과 2007년만 놓고 보면 저체중군과 정상체중군은 각각 0.8%포인트, 14.2%포인트 감소한데 비해 과체중군과 비만군은 각각 3.2%포인트, 11.8%포인트 증가한 셈이다.

여성도 저체중군과 정상체중군은 각각 3.0%포인트, 7.3%포인트 감소한 반면 과체중군과 비만군은 각각 3.9%포인트, 6.4% 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목할만한 것은 10년새 저체중이나 정상체중은 줄어든 반면 과체중이나 비만군으로 옮겨간 사람들은 더욱 늘었다는 점이다.

특히 비만군의 경우는 10년 후에도 그대로 비만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남성의 경우 1997년 저체중군에서 10년만에 정상체중군으로 변한 사람이 59.8%, 정상체중군에서 과체중군이 된 사람이 29.5%, 과체중군에서 비만군이 된 사람이 41.7%에 달했다.

비만군의 경우 10년 후에도 비만을 유지한 남성이 85.2%, 여성이 75.9%로 가장 많았으며, 과체중군으로 떨어진 경우는 남성 13.4%, 여성 17.4%에 불과했다.

논문의 제1저자로 참여한 건강보험공단 배남규 과장은 "10년간 국내 비만수준의 가장 큰 특징은 저체중과 정상체중은 해가 갈수록 감소했지만, 과체중과 비만은 증가했다는 점"이라며 "이 같은 증가 추세를 막으려면 비만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해 국가가 나서서 정책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bi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