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가 파업(집단운송거부) 5일째인 15일 새벽 파업을 철회했지만, 그동안의 파업으로 인해 우려했던 `물류대란'은 발생하지 않았다.

국토해양부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4일 남짓된 화물연대 파업 기간 중 일부 화물차주들의 운송거부와 운송방해 행위가 있었지만 물류 차질은 빚어지지 않았다.

파업 첫날인 11일 46대의 화물차량이 운송을 거부하는 등 이 기간 총 100여대의 화물차주들이 파업 전 화주 및 운송사들과 맺은 계약을 어기고 운송을 거부했지만, 즉각적인 대체차량 투입 등으로 별다른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작년에는 파업 첫날 1만여대의 화물차량이 운송을 거부한 것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화물연대 소속원들로 추정되는 차주들에 의해 차량방화 등 운송방해 행위도 20여건 발생했지만, 물류에 차질을 줄 정도는 되지 않았다.

또 전국 곳곳에 방치된 500여대의 화물차량도 대부분 즉각 해산되면서 물류 대란을 우려할 만한 정도는 아니었다는 것이 국토부와 업계의 진단이다.

대신 업계는 파업 장기화에 대비해 직영 화물차량의 운송 횟수를 늘리고 대체 차량을 투입하는가 하면, 주말을 이용해 급한 화물을 우선적으로 철도로 수송했다.

파업 둘째 날인 12일 컨테이너 철도 수송이 평일보다 128.7%가 운송됐고, 13일에는 211.3%가 처리되는 등 주말 동안에만 철도를 이용한 운송이 평일보다 거의 2배에 달했다.

이에 따라 2002년 화물연대가 만들어진 이후 2003년부터 지금까지 총 7차례의 파업이 있었지만, 이번 파업으로 인한 피해가 가장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가 적었던 데에는 이번 파업이 소속원들은 물론 비화물연대 화물차주들도 적극 가세하지 않으면서 동력을 크게 잃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물류대란을 몰고 왔던 작년 파업의 경우 100달러를 넘나드는 살인적 유가에 대한 `생계형' 파업으로 화물차주들의 공감대가 있었다면, 이번 파업은 경기 침체 속에서 `화물연대 인정'을 요구하면서 명분이 약했다는 것이다.

여기에 범정부 차원의 강경 대응도 어느 정도 실효를 거뒀다는 분석이다.

대체 수송능력을 증강시키고, 주요 항만과 화물터미널 등 물류기지에 대한 점거ㆍ봉쇄에 대비해 경찰력을 배치하고 화물연대 지도부 검거에 나선 것도 물류 차질을 막는 주요한 원인이었다.

국토부 관계자는 "파업 동력이 없었던 데다가 정부로서도 만반의 준비를 갖춘터라 현재 집계하기로도 올해 물류 차질은 거의 없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태종 기자 taejong75@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