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사이버 전쟁에 대비해 사이버 전력을 증강하는 경쟁이 더욱 불붙고 있다.

총성없는 전쟁이지만 적성국의 전산망을 마비시킬 수 있는 점 때문에 사이버 전력 육성은 군사력 못지않은 위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평상시에는 해킹 등을 통해 상대국의 군사 및 기업 정보를 빼내는 데 이용이 가능하다.

14일 워싱턴타임즈 등 외신에 따르면 중국은 자국 정부와 군의 컴퓨터 네트워크에 미 군사.정보기관의 침투를 막기위해 '기린'이라는 운영체제(OS)를 설치했다.

사이버 공격부대를 대규모로 육성 중인 것으로 알려진 중국이 방어체제를 구축한 것이다.

최근 북한도 사이버 전쟁 전담부대인 '기술정찰조'를 확대.편성해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인원은 100여명에 달하며, 이들의 임무는 국내 군사관련 기관들의 네트워크망에 침투해 비밀자료를 해킹하거나 유사시 바이러스를 유포하는 일이다.

현재 사이버 전력이 가장 앞서있다고 평가받는 국가는 미국이다.

미국은 정보기관과 국방부 등이 너나 할 것 없이 사이버 전력 구축에 열을 올리고 있다.

미 국방부는 사이버 보안을 강화하고 새로운 세대의 온라인 무기를 개발하기 위해 가상의 미래 인터넷을 개발 중이다.

금융, 통신, 전력, 교통 등에 대한 적성국의 사이버 공격이 들어왔을 때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오바마 행정부도 중국과 러시아 등으로부터 들어오는 사이버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관련 예산을 증액하려는 등 사이버 전략을 재검토하고 있다.

이는 핵 억지력처럼 사이버 전력이 상당 수준에 올라 있어야 사이버 공격에 대한 억지력을 지닐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사이버전쟁이 벌어진 사례도 있다.

러시아는 2007년 에스토니아, 2008년 그루지아의 컴퓨터 통신망을 집중 공격해 주요 정부기관과 이동통신망을 마비시켰다.

올해 초 이스라엘 가지지구 전투가 벌어질 당시 아랍권 해커 집단은 가자지구 공격에 대한 부당성을 알리기 위해 이스라엘 사이트에 사이버 공격을 가했다.

국내에서도 사이버 전쟁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대응력이 강화되는 추세다.

현재 국정원 사이버안전센터가 사이버 전쟁 대응을 총괄하고 있다.

국군기무사령부도 사이버 사령부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방어에만 머무르지 않고 사이버전에 적극 대응하는 형태의 조직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기무사령부는 지난해에는 안철수연구소와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양해각서를 체결하기도 했고, 이달과 오는 10월에는 전산 및 정보보호 관련학과를 2년 이상 수료한 남성을 대상으로 정보보호 특기병을 첫 공개모집하는 등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민간영역에서도 보안 수준을 높여야 사이버 전쟁에 대비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보안업계 관계자는 "IT 인프라의 수준이나 개방성은 선진국 수준이지만 보안 투자에서는 후진국 수준"이라면서 "IT 투자 수준에 맞는 보안투자를 해야 민간 부문이 사이버 전쟁을 대비한 민방위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광빈 기자 lkbi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