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팀= 임시.일용직 뿐 아니라 상용직 일자리도 조만간 흔들릴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이는 임시.일용직에 이어 기업들의 정규직도 인력 구조조정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상용직 근로자도 `흔들'
고용사정이 악화되면서 청년층, 임시.일용직 근로자, 자영업자들이 가장 먼저 타격을 받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의 유병규 본부장은 "외환위기 때는 기업에서 실업자가 쏟아져 나왔고, 당시 직장을 잃은 사람들이 자영업으로 흡수됐다"며 "지금은 내수위축 등으로 자영업에서 실업자가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용정보원의 신종각 인력수급전망센터장은 "보험 수급 상실자와 실업급여 신청자를 보면 30인 미만 기업에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소기업 및 영세기업 위주로 고용불안이 심화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고용 대란은 조만간 전 연령층.업종 등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대체적인 관측이다.

금융연구원의 박종규 연구위원은 "작년 12월과 올해 1월에는 20대와 60대 후반에서 취업자 수가 많이 줄었지만, 최근에는 30∼40대로 확산되고 있다"면서 "경기침체가 본격화하면 모든 연령대로 확산될 것"으로 예상했다.

상용직도 더는 `안전지대'가 아니다.

삼성경제연구소의 손민중 연구원은 "지금은 경기에 민감한 자영업과 임시·일용직이 조정을 받고 있지만 경기침체가 장기화하면 상용직 근로자의 조정이 있을 수 있다"며 "빠르면 올해 4~5월에 상용직 증가인원이 한자릿수에 머물거나 마이너스로 돌아설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지난 1월 상용직 취업자는 전년 같은 달에 비해 28만7천명이 늘어났다.

상용직 취업자 증가인원은 작년 7월 38만1천명이었으나 9월에는 31만8천명으로 줄어들었고 올해 1월에는 30만명 이하로 꺾였다.

임시직은 지난 1월에 13만4천명이, 일용직은 13만3천명이 각각 감소했다.

손 연구원은 "상용직이 흔들린다는 것은 정규직에 대한 명퇴나 조기퇴직 등 구조조정이 시작된다는 의미"라면서 "정부가 일자리 나누기 등에 나서는 것도 상용직 감소를 막기 위한 노력 중의 하나에 해당된다"고 말했다.

◇ 일자리 감소, 근본적 대책 없나
경제전문가들은 정부가 경기부양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길 외에 특별한 대안은 없다고 밝히고 있다.

LG 경제연구원의 이근태 연구위원은 "고용정책은 결국 경기부양책과 통한다"면서 "실물경제가 나빠지는 것은 고용 악화와 관련되는 만큼 고용을 높이는 쪽의 대책을 계속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의 유병규 경제연구본부장은 "체질을 적극적으로 개선하고 새로운 성장기반을 마련하는 것도 고용정책에 해당된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구조조정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현재 정부가 추진 중인 잡셰어링 정책의 경우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는 점에 동의한다.

가파르게 하강하는 경기상황에서 어떻게든 일자리를 어느 정도 유지해야 한다는 정부의 절박감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무리한 잡셰어링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

노동연구원의 황수경 동향분석실장은 "민간기업들에 청년 인턴 채용을 할당하는 방식은 문제가 있다"면서 "자칫하다가는 돈을 그냥 나눠주는 것보다 못한 정책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인턴방식은 너무 일시적이며 장기적인 비전도 없다"면서 "인턴들이 배우는 것도 없다"고 지적했다.

잡셰어링은 민간 기업보다는 공기업 위주로 진행되는게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고용정보원의 신 센터장은 "기업들이 임금조정을 하고 그 재원으로 청년인턴을 고용하거나 고용보험을 확충해야 한다"면서 "그러나 민간기업은 이윤창출을 못 하면 망하기 때문에 임금수준이 높은 금융공기업들이 솔선수범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