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3년 조선에 첫 해군 무관으로 파견됐던 조지 포크 소위가 미국 근세 사상 첫 해외 첩보원이었다는 자료가 나왔다. 25일 미주한국일보는 해외 첩보원으로 활동하다 은퇴한 존 F. 프라우트 미 육군 예비역 대령이 중앙정보부(CIA)에 제출한 `조선의 첫 미 해군 무관'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입수해 이같이 전했다. 포크 소위는 논문에서 "문화와 풍습, 언어가 다른 조선에서 3년 간 각종 군사, 정치, 사회 정보를 정확하게 입수해 미국의 극동 아시아 정책 마련에 커다란 도움을 주었으며, 이런 점에서 현재 활동하고 있는 후배 첩보원들이 그를 사표로 삼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논문에 따르면 그는 조-미 수교 협약에 의거해 워싱턴D.C., 뉴욕, 보스턴 등을 방문하고 귀국하는 조선 특별사절단을 따라 1883년 조선에 개관한 미 공사관 최초 해군 무관이 됐다.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당시 27세였던 포크 소위는 정보수집 교육 및 경험이 없었음에도 조선 언어와 풍습, 문화를 신속히 터득해 조선왕조 대신들과 가깝게 지냈으며, 심지어는 고종황제로부터 군사 자문관직을 맡아달라는 요청을 받고 정중히 거절할 정도로 두터운 신임을 얻었다. 특히 논문은 "1884년 12월 서울에서 일어난 무력 소요(갑신정변)로 그는 전 재산을 잃고 미 정부로부터 신속한 재정 지원을 받지 못하자 당시 조선 우표 등 기념품을 미국의 친지를 통해 판매해 그 수익금으로 활동자금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포크 무관은 고종황제로부터 두터운 신임을 받았으나 조선에 대한 영향력이 줄어들 것으로 판단한 중국이 조선 조정으로 하여금 소환(리콜)하도록 공작을 펼쳤고, 조선과 마찰을 우려한 미국이 이를 받아들여 3년 간의 첩보원 생활을 접었다. 그는 군에서 전역한 뒤 일본 여성과 결혼해 일본에서 살았으며, 37세 때인 1893년 8월 2일 등산을 나간 뒤 3일만에 숨진 채 발견됐다고 논문은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왕길환 기자 ghwa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