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지하철공사가 서울의 마지막 노른자 땅으로 꼽히는 지하철 4호선 사당역 네거리 임시주차장 부지(5천3백50평)와 3호선 수서역 네거리 주차장 부지(6천4백25평)에 환승시설을 갖춘 대형 주상복합 빌딩 단지를 세운다. 또 3호선 학여울역 중소기업 전시장 부지(1만7백평)와 군자 차량기지(8만5천평), 창동 차량기지(5만4천평)에도 주상복합 단지를 만드는 방안도 장기적으로 검토 중이다. 22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19일 지하철공사 노사가 경영개선 방안 등을 담은 '21세기 새로운 지하철 발전도약을 위한 합의서'를 체결함에 따라 시유지인 사당역 및 수서역 주차장 부지를 공시지가 수준에 제공키로 했다. 이는 최근 이명박 시장이 "공사노조가 향후 구조조정에 합의할 경우 해당 부지를 넘겨주겠다"고 약속한데 따른 것이다. 공사는 이에 따라 사당역과 수서역 부지에 주상복합 빌딩을 짓기로 하고 구체적인 개발계획에 대한 용역공고를 냈다. 그러나 지하철공사가 업무와 무관한 부동산 개발사업에 뛰어드는 점은 논란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시가 대형건물이 들어설 수 있도록 현재 주거용지로 묶여 있는 이들 부지를 상업시설로 용도변경해 주기로 한 점에서 사실상 특혜라는 비판도 일고 있다. 금싸라기 땅을 공시지가에 매입한 뒤 주상복합 건물을 지어 되파는 만큼 공사에 수천억원의 개발이익이 돌아갈 것이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경쟁입찰을 통해 민간에 땅을 판 뒤 매각 대금으로 시가 직접 지하철 부채를 갚아주는게 낫다"며 "개발이익이 공사의 수입으로 들어갈 경우 부채를 갚기보다 다른 곳에 쓸 수 있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시는 지하철공사가 내년부터 강도높은 구조조정을 벌이기로 한데 따른 '당근'으로 해당 부지를 주기로 한 만큼 계획대로 구조조정이 안될 경우 안줄 수도 있다는 입장이다. 또 어차피 적자 보전을 위해 시가 매년 수천억원씩 지원해 주고 있는 마당에 공사가 사업 다각화를 통해 자체적인 수입원을 갖는 것은 바람직한 측면도 있다는 설명이다. 한편 공사는 내년부터 야근 인력을 최소화하는 방식의 업무조정을 통해 내년 7월 주5일 근무제 실시에 따른 필요인력(1천4백명 규모)을 뽑지 않고 자체 흡수키로 했다. 또 역무, 중정비 업무 등을 아웃소싱하고 출고점검 등 불필요한 작업을 없애 모두 2천7백73억원을 절감하기로 했다. 오상헌 기자 ohyea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