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언론노동조합(위원장 신학림)은 3일 오후서울 프레스센터 외신기자클럽에서 `노동 적대적 언론환경의 현실과 대책'이란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이정호 언론노조 정책국장은 "해방 후 우리 언론은 노동쟁의에 관해 일단 노동운동세력을 초기에 고립시키고 내부를 분열시킨 뒤 강경대응을 부추기는 `군사작전식' 보도를 일관되게 지속해왔으며, 올해 들어서는 모든 분야에 걸쳐 노동 적대적인 논조를 펼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노사문제를 경제의 종속변수로 보거나 `정권 때리기'의 일환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높아졌으며 화물연대 2차 파업과 현대차 파업 이후에는 거의 모든 신문에서 일상적으로 노동자를 공격하는 기사와 칼럼이 발견된다"고 지적했다. 이 국장은 노동 적대적 기사의 대표 사례로 `제조업이 무너진다' 시리즈(조선),`현대차 근로자 쉬는 날 세계 최고수준'(중앙ㆍ조선), `노조위원장은 사장급'(한국),`해고ㆍ파업 모두 쉽게-노사관계 선진화방안 구체화'(한겨레) 등을 들었다. 중앙일보는 대한상의와 함께 실시한 국민의식조사를 소개하며 "당분간 파업 자제해야"(82.3%)는 제목으로 부각시킨 반면 82.5%가 `근로자 경영참여'에 찬성한다거나 노사관계의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기업주의 부당노동행위'(92.3%, 복수응답)를든 것은 제목에 언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전교조식 평준화 교육'이란 신조어를 통해 조기유학 열풍의 책임이전교조에 있는 듯한 인상을 심어주는가 하면(매일경제), 골프채 출국 절차 간소화를촉구하고(문화) 교과서가 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심어준다(동아)고 지적하는 등"사회적 약자에 대한 성찰 대신 `노동자 때리기'에 열중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어 김현석 KBS 공정방송추진위원회 간사는 지난달 28일 노사 합의로 제정한 KBS의 `노동ㆍ사회 갈등 관련 보도준칙'의 구체적 내용을 설명했다. 이 보도준칙은 △정확성 △공정성 △객관성 △합리적 합의 지향 △논조의 일관성 △오보 정정 등의 원칙 아래 제작세칙을 규정해놓고 있다. 제작세칙은 △피해 보도는 신뢰할 만한 객관적 자료를 바탕으로 하며 자료의 출처를 밝힌다 △피해와 차질을 구분해 차질이 피해로 오인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자신과 생각이 같은 취재원이나 사례를 편향적으로 선택하지 않는다 △의도적으로 특정 사실을 생략하거나 기자 의견을 사실인 것처럼 보도하지 않는다는 내용이다. 세칙에는 또 △기자가 원하는 방향의 의견을 얻기 위해 취재원의 의견에 영향을주지 않도록 주의한다 △당국의 공식 발표라 하더라도 일방 당사자가 제시한 통계나주장에 기초한 경우에는 그 한계를 명확히 한다 △지나치게 자극적이거나 과정돼서는 안되며 사실 위주로 객관적으로 보도한다 △파업이나 갈등의 당사자가 인터뷰를거부할 경우 대립되는 의견을 공평하게 보도하기 위해 노력한다 △제작자의 편견이개입되지 않도록 용어 사용에 유의한다는 내용도 들어 있다. 김 간사는 "권위주의 정권 시절에 확립된 파업 관련 보도의 틀이 너무나 견고해의식하지도 못한 상태에서 사용자 편을 들게 된다는 지적이 많았다"면서 "이미 제정된 선거와 통일 분야 준칙을 수정 보완하는 한편 불공정성이 지적될 수 있는 다양한분야의 준칙을 추가로 마련해 전체 가이드라인으로 종합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서울=연합뉴스) 이희용 기자 heey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