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교육비중 일반 가정(민간)이 부담하는 비율은 7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20%)의 4배에 달하는 등 고등교육에 대한 국가의 재정지원이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만 15세(중3)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전체 평균이 최고 수준이지만 최상위권은 뒤처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16일 발간한 '2003년도 OECD 교육지표'에 따르면 국내에서 초ㆍ중ㆍ고, 대학 등 학교 교육비중 민간이 부담하는 비율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2.8%로 전체 공교육비의 39.8%를 차지했다. 미국(31.8%), 일본(24.8%), 호주(24.0%), 캐나다(19.4%)의 민간부담률을 훨씬 웃도는 것이다. 전체 학교 교육비 지출액중 민간이 부담하는 비율은 초ㆍ중ㆍ고의 경우 18.3%, 대학은 75.6%에 이르렀다. 반면 학생 1인당 교육비 지출액은 물가를 감안한 구매력환산지수(PPP) 기준으로 초등학교 3천1백55달러, 중ㆍ고등학교 4천69달러, 대학교 6천1백18달러로 OECD 평균(각각 4천3백81달러, 5천9백57달러, 9천5백71달러)의 60∼70% 수준에 불과했다. 이는 우리나라의 경제규모가 아직 OECD 회원국 평균에 비해 작아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으로 학생과 학부모들은 막대한 사교육비에 이어 만만찮은 공교육비 부담을 떠안고 있는 셈이다. 한편 지난 2000년 만 15세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조사한 결과 한국은 참가국중 과학 1위, 수학 2위, 읽기 6위로 매우 우수했지만 최상위 5%에 속하는 학생들은 과학 5위, 수학 5위, 읽기 20위로 다른 OECD 국가들의 최상위 수준 학생들에 비해 그다지 높지 않았다. 최상위권에 속하는 학생들의 비율도 읽기의 경우 5.7%로 OECD 평균인 9.5%에 크게 못미쳤다. 이는 평준화로 인해 '중간 정도 학력' 수준에 아이들 대거 몰려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밖에 우리나라 교사의 정보통신기술 사용 능력은 OECD 회원국들에 비해 매우 높았고, 특히 교사의 인터넷과 e메일 사용 비율은 OECD 평균의 두배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방실 기자 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