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중앙지도부가 5일 파업 철회를 결정함에 따라 16일째 계속된 2차 운송거부 사태가 완전 종결됐다. 이에 따라 물류 시스템도 조만간 정상을 회복할 전망이다. 그러나 3개월 만에 또 다시 벌어진 파업으로 부산항의 국제 신뢰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등 심각한 후유증을 낳고 있다. 특히 컨테이너 운송회사들이 복귀의사를 밝힌 차주를 모두 수용하지 않고 선별적으로 재계약키로 한 데다 정부도 지난달 26일까지 복귀하지 않은 차주에 대해선 경유세 보조금 지급을 중단키로 결정해 이에 반발하는 화물연대 회원들과 다시 충돌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화물연대의 '항복'배경=화물연대가 그동안 주장했던 '컨테이너 부문과 시멘트 부문의 일괄타결 방침'을 철회하는 등 사실상 '백기 투항'을 하게 된 데는 지난 4일 컨테이너 위·수탁 지부의 업무 복귀 선언이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이들의 복귀로 파업 효과가 급격히 떨어져 더 이상 물류를 볼모로 양보를 얻어내기 힘든 상황이 됐기 때문이다. 잃을 게 없어진 정부와 운송회사는 '선복귀 후협상'원칙을 고수하며 이들을 계속 압박했고 결국 파업에 지친 화물연대 회원들 사이에 '계속 파업해 봤자 얻을 게 없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복귀쪽으로 급속히 선회했다. 최종찬 건설교통부 장관은 "국민과 기업들이 파업으로 인한 불편을 잘 인내해 줘 정부가 원칙대로 밀고 나갈 수 있었다"며 "결국 화물연대도 이처럼 보이지 않는 국민의 압력에 못 견디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우려되는 파업 후유증=일부 대형 운송사들의 '선별 재계약'방침은 적지 않은 진통을 예고하고 있다. 대다수 운송사들은 "명분없는 파업으로 회사에 엄청난 손해를 입혔는데 어떻게 전부 다 받아주느냐"며 선별 재계약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일부 운송사들은 복귀의사를 밝힌 위·수탁 차주들에 대한 분류작업을 끝내고 재계약 대상자에게 개별 통보하는 과정을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항의 부두 운영사 등 화주들이 제기키로 한 운송 손실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소송도 새로운 분쟁의 불씨가 될 전망이다. 정부가 지난달 26일까지 복귀하지 않은 차량에 대해선 지난 5월 1차 파업 때 약속한 '경유세 올해 인상분 1백% 보전'방침을 철회키로 한 것도 화물연대측의 강한 반발을 불러 일으키고 있는 상태다. 건교부 관계자는 "정부의 경유세 보조 중단 방침은 확고하다"며 "선별 재계약 및 손배소 문제는 전적으로 운송업체와 화물연대측이 협상을 통해 해결할 문제"라고 말했다. ◆부산항 신뢰도 추락=화물연대 재파업이 남긴 가장 심각한 후유증은 국제적으로 '부산항은 불안한 항만'이란 인식이 확산됐다는 점이다. 중국 차이나시핑 등 일부 외국선사들이 1차 파업 뒤 떠난 여파로 부산항의 컨테이너 처리량은 지난해 세계 3위에서 5위로 밀려난 상태다. 최근 들어 다른 외국 선사들도 3개월 만에 벌어진 재파업에 실망해 환적항 이전을 신중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한 외국선사 관계자는 "막대한 돈을 들여 개발 중인 신항만도 환적 화물이 없다면 무용지물"이라며 "정부가 '더 이상 물류 대란은 없다'는 점을 확신시켜 주지 않는 한 부산항 이탈 움직임은 끊이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부산=김태현·오상헌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