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와 운송업체가 단체협상으로 해결해야 한다.' '화물연대가 산별노조도 아닐 뿐만 아니라 운송업체마다 규모와 지불능력이 다르므로 개별협상을 하는 게 당연하다.' 화물연대 총파업을 불러온 BCT(벌크 시멘트 트레일러·가루시멘트 운송차량) 부문의 운송료 협상이 '협상방식'을 놓고 양측이 전혀 시각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어 파업 장기화를 예고하고 있다. 22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화물연대와 시멘트 제조회사 및 운송업체는 BCT부문의 협상을 조만간 재개한다는 원칙에는 합의했지만 협상방식에서부터 한발짝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화물연대는 BCT 협상이 타결될 때까지 컨테이너 부문도 동조파업키로 했기 때문에 BCT 협상 결과가 이번 파업의 핵심 쟁점이 된 상태다. ◆화물연대가 중앙교섭을 고집하는 이유=화물연대의 요구는 "화물연대를 화물차주들의 대표로 삼아 중앙 일괄교섭 방식으로 운송료 문제를 협상하자"는 것이다. 이미 컨테이너 부문은 중앙 교섭으로 타협점을 찾았다는 점을 들고 있다. 화물연대가 중앙 일괄교섭을 제기하는 이유는 '이렇게 해야 개별 화물차주들이 따로따로 업체들과 마주할 때보다 협상력이 훨씬 높아진다'는 이유에서다. 또 이번에 화물연대와 운송업계간의 중앙교섭이 이뤄지면 화물연대는 마치 금속노조처럼 일종의 산별노조와 같은 지위를 확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화물연대는 앞으로 운송업계측과의 단체협상을 사실상 정례화할 가능성이 높다. ◆운송업계의 고민=운송업계(사용자)측은 우선 화물연대가 자영업자인 개별차주들의 모임인데 이들을 노동자로 인정해주고 더 나아가 산별노조와 같은 지위까지 부여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입장이다. 화물운송시장의 '갑(용역발주자)과 을(공급자)의 관계'일 뿐 '노사관계'가 아닌데 파업에 밀려 노조처럼 대우할 수는 없다는 것.만약 이렇게 되면 영세 운송업체들은 화물연대의 단체협상에 따른 운송료 인상에 밀려 설자리가 없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측은 "업체별로 따로 운임료 인상률을 협상하자"는 주장에서 한발짝도 물러서지 않고 있다. 시멘트 업계 관계자는 "이번에 화물연대를 협상대상으로 인정해주면 매년 똑같은 방식으로 운임료 협상을 벌여야 할 것"이라며 "매년 운임료 인상을 해줄 수도 없는 데다 조직력을 이용해 '요구를 안들어 주면 파업한다'는 협상방식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업계는 또 시멘트 운송의 특성이 컨테이너 부문과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컨테이너는 노선이 단순하고 육송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중앙교섭 방식으로 '서울∼부산 구간 운송료는 얼마'식으로 합의할 수 있지만 시멘트 운송은 그렇지 못하다는 것. 오상헌 기자 ohyea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