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대 중반까지 주춤했던 수도권 집중문제가 97년 외환위기 이후 다시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산업자원부가 내놓은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현황과 정책시사점'에 따르면수도권의 지역내 총생산(GRDR) 비중은 90년 45.7%에서 95년 45.4%로 낮아졌다가 외환위기 직후인 98년 45.2%, 99년 46.5%, 2001년 47.1%로 높아졌다. 지역생산을 좌우하는 기업체 수에서도 수도권 광공업체는 전국과 비교할때 비중이 98년 53.3%에서 2001년 56.2%로, 벤처기업은 46.8%에서 54.4%로 각각 상승했다. 특히 산업혁신을 뒷받침하는 연구 개발비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62.7대 37.3,연구인력은 58.6대 41.4, 연구 개발기관은 66.7대 33.3, 전문.기술.행정 인력은 61.7대 38.2로 격차가 커 지역산업 진흥과 구조개편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 등 수도권은 제조업 가운데서도 성장 잠재력이 높은 전기전자업종이 43.5%로 편중이 심했고 지식기반 제조업으로의 구조개편도 활발한 반면 비수도권은 전통산업의 비중이 66.4%(97년)에서 68.3%(2000년)로 오히려 높아졌다. 지역간 불균형 변동계수는 91년 0.283에서 2001년 0.922로 상승세를 키웠다. 수도권 인구 비율은 95년 46%에서 98년 45.6%로 낮아졌지만 99년 45.9%로 다시상승하기 시작, 2001년 47.1%로 높아졌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간 성장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R&D 등 지역혁신역량의 제고 및 균형발전, 제조업의 기반확충 지속, 기존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지역소득 창출, 지식기반제조업으로의 구조개편 촉진 등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산자부는 이를 국가균형발전 5개년 계획 수립지침에 반영, 연말까지 계획안을만들기로 했다. 5개년 계획은 그동안 중앙정부 주도의 상향식 정책에서 벗어나 지방주도로 이뤄지며 지자체가 지역혁신체제(RIS) 구축, 전략산업 육성 계획 마련을 담당하고 정부가 조정, 컨설팅, 지원 등을 맡게 된다. 산자부는 이날 윤진식 장관과 성경륭 국가균형발전위원장, 주요 연구기관 원장,16개 시도 부자치단체장이 참석한 가운데 무역클럽에서 정책간담회를 열고 상호협력및 지역전략산업 육성방안을 논의했다. (서울=연합뉴스) 유경수기자 yks@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