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 상권의 어느 한가지 업종이 이전하는 경우, 전체 시스템의 붕괴를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가 시민단체에 의해 제기됐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하 경실련) 도시개혁센터 류중석 교수(중앙대)는 2일오후 경실련 주최로 열린 청계천복원사업 분야별 토론회에서 "청계천 주변 전기, 전자, 기계, 공구, 조명, 의류.패션 등 도심제조업 및 도소매업종은 단위부품의 생산에서 완제품 납품까지 50여년의 영업노하우가 축적된 곳으로 유기적 관계가 형성돼있다"고 주장했다. 류 교수는 청계천 주변재개발과 관련한 이날 토론회에서 "특히 소품종 소량생산을 위주로 하는 특수기계등의 제품은 선진국에 버금가는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나 서울시 주장대로 경제논리의 민간개발에 주변지역의 재개발과 정비를 맡길 경우, 이러한 무형의 노하우가 일시에 사라져 버리는 결과를 가져온다"고 강조했다. 류 교수는 이어 "현재 청계천 주변에 있는 1천여곳의 노점상과 3만여 세대의 영세 상가는 당장의 생계대책을 마련할 경제적, 시간적 여유도 없이 살아야할 권리를박탈당하고 있다"며 "이들의 몰락은 사회적 약자의 생존권 확보와 더불어 청계천 주변 제조업 시스템의 경쟁력 약화 및 붕괴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류 교수는 "기존의 도심제조업중에서 경쟁력이 있는 업종의 재입지를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이전 대상업종은 공해나 소음을 유발하는 몇몇 업종에 국한해선별하고 나머지 업종은 재입지시켜 기존의 도시기능과 맥락을 존중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류 교수는 일례로 필요시 도심주거 기능과 제조업을 복합화하는 주공복합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류 교수는 "청계천 복원사업만 서울시에서 주도하고 주변지역의 재개발 및 정비는 민간에 위임하는 방식은 공공공간이나 도심의 공지 및 녹지확보가 어려울 뿐 아니라 `유흥위락' 위주의 도심난개발을 자초할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류 교수는 "기존의 산업간 연관관계를 고려해 도로정비 등의 사업을 공공이 지원해 민간의 노후건물 재건축을 점진적으로 유도하는 방안을 추진해 대규모의 급속한 재개발에 따른 연관업종의 일시적 쇠퇴를 방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청계천 주변 도심부의 평균 용적률을 현재 250%에서 600%수준으로 상향조정하는 서울시의 방안은 청계고가도로의 철거로 인한 교통용량의 축소를 감안한다면도심의 다른 지역보다 낮게 책정해야할 것으로 류 교수는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성진 기자 sungji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