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6~27일사이 서울지역 9개 중고교 1천160명의 학생이 학교급식을 먹은 후 집단으로 설사와 복통 등 식중독 증상을 보인 이후 학교급식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다. 일단 추가 발병 없이 식중독 확산은 29일 현재 주춤한 상태지만 이번에 문제를 일으킨 학교들이 모두 외부 업체에 급식을 위탁해 운영하고 있어 급식운영 방식에 대한 논란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학생들의 집단 식중독이 발병하자 마자 '학교급식 네트워크'와 `참교육을 위한 학부모회' 등 관련 단체들도 성명서를 잇따라 내놓고 서울시교육청의 위탁급식을 비난하고 즉각 직영으로 바꾸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서울시의 학교급식은 초등학교의 경우 학교에서 직영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중고등학교는 특목고 등 9개교를 제외하고 모두 위탁운영하도록 시교육청이 원칙을 세웠다. 이를 두고 학교급식네트워크 등 단체들의 문제제기가 그동안 끊임없이 있어 왔으나 시교육청은 시설비, 인건비 등 예산문제 등을 내세우며 직영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직영으로 운영하는데 초기 시설비가 학교당 최소 1억원가량이 필요하며 공간이 확보되지 못한 학교는 3억원 이상이 들어가게 돼 영양사 등 인건비까지 포함하면 현재로서는 도저히 이를 감당할 수 없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즉 서울시내 중고등학교 전체를 직영으로 할 경우 초기 시설투자비만 600억 이상이 필요하며 인건비 등까지 들어가면 1천억원대의 사업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예산문제 외에도 직영으로 할 경우 학부모와 교사들이 챙겨야 할 부분이 많아지게 되고 이번 처럼 사고가 발생하면 그 책임이 학교 관계자에게 곧바로 돌아가고 일선 학교에서도 반기는 곳이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서울 S고 관계자는 "직영을 하고 있는 초등학교에서도 급식과 관련된 불미스런 일이 자주 발생한다"며 "직영만이 능사는 아니다"며 현실적인 어려움을 토로했다. 그러나 사회단체들은 예산문제 등은 해결방안이 전혀 없지 않는데도 시교육청이 이를 고치지 않는 것은 아이들을 영세 위탁업체의 안이한 위생의식에 내팽개치는 것과 같다고 반발하고 있다. 학교급식네트워크 관계자는 "자치단체 등으로부터 시설비와 운영비를 보조받고 일정기간 학부모들로부터도 도움을 받는다면 직영급식이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직영이 전혀 문제가 없다는 것이 아니라 직영의 경우 이번 처럼 대규모집단 발병을 막을 수는 있다"며 "영세한 위탁급식업체가 여러학교에 급식을 제공하고 있는 지금과 같은 상태에서는 집단발병은 언제고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네트워크 이반파 간사는 "위탁급식의 핵심은 한 업체에 문제가 생길 경우 여러 학교에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다"며 "일선 학교의 급식심의도 제대로 운영되지 않고 있고 특히 시교육청의 획일적 위탁정책이 대형 사고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여운창 기자 bett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