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수도권의 민자역사가 상업시설 위주로개발되면서 주변 지역에 심각한 교통체증을 유발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은 20일 `국유철도 민자역사 개발에 대한 서울시 정책대응방안' 연구보고서에서 서울과 수도권에 건립됐거나 건립중인 9개 민자역사를 조사한결과 전체 규모중 역무시설 비율은 10% 수준인 반면 판매 및 영업시설은 최고 94%에달했다고 밝혔다. 역 이용객들의 이용공간인 역무시설 비율은 서울역 24.3%, 부평역 18.8%, 부천역 18.4%, 서울통합역.영등포역 16.8%, 용산역 11.7%, 수원역 11.4%, 안양역 10.6%등이다. 반면 판매.영업시설은 동인천역 94.1%, 부평역 72.2%, 부천역 70.4% 등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이들 민자역사는 용산역 2천147대, 영등포역 1천254대, 수원역 1천110대, 부평역 926대, 안양역 847대, 서울통합역 813대, 부천역 779대 등 대규모 주차장을 설치함으로써 승용차 통행을 유발, 주변 교통혼잡을 가중하고 있는 것으로 연구원은 분석했다. 연구원은 "국유철도의 민자역사 개발은 철도청의 재정지원과 철도시설 확충을위한 `국유철도의 운영에 관한 특례법'을 통해 이뤄지면서 구조적으로 상업시설 위주의 개발이 불가피하고 개발 초기단계부터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도시계획과 사전조율없이 추진되는 것이 관행이 됐다"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연구원은 이어 "이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시가 철도청과 사전협의제를 통해도시계획적 검토를 선행, 민자역사 개발가능 여부와 규모 등을 결정하고 필요시 민자역사 개발지역을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 관리하는 한편 주차상한제를 확대 적용하는 등 주차장법을 개정할 것" 등을 제안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aupf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