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하철 화재참사 당시 중앙로역과 사고전동차내에 비치된 각종 소화장비는 있으나마나였다. 지하철 전동차 화재 당시 역무원들은 물론 승객들조차도 역사내에 비치된 소화전은 커녕 근처에 있던 방독면 조차 활용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나 아쉬움을 더해주고 있다. 방화범에 의한 화재 초기 1079호 기관사가 분무형 소화기를 사용하다 불이 급격히 확산돼 포기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이때 누군가가 인근에 있던 소화전만 생각했더라면 대형참사를 막을 수도 있었다는 지적이 설득력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사고현장인 중앙로역 지하 3층 승강장에는 상.하행선에 각각 소화전 4대와 분말소화기 4대, 방독면 10개가, 전동차에도 앞뒤 기관실에 소화기와 방독면 각 1개, 객차마다 앞뒤로 소화기가 각각 비치돼 있었다. 이로인해 초기 화재사실을 알았을 때 근무중이던 역무원들이 곧바로 방독면을 쓰고 소화기나 소화전을 이용해 불을 끄는데 힘을 썼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고 있다. 특히 방화지점인 1079호 전동차 두번째 객차 인근 출입구 계단벽에 길이 25m가량의 소방호스가 들어있는 소방전용함이 있었으나 사고당시 어느누구도 이를 사용할 생각은 하지 못해 무용지물이 되고 말았다. 소방 관계자는 "길이 25m의 소방호스는 반경 40m 이내의 화재진압에는 가장 효과적"이라며 "화재초기 이것만 사용했더라면 최소한 불이 확산되는 것을 막을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회사원 김창배(43.대구시 남구 대명동)씨는 "하루 수백.수천명의 승객이 이용하는 지하철이 유독가스가 많이 발생하는 지하화재의 특성을 무시하고 방독면을 10여개만 비치한 형식적인 대비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승객들은 화재 이후 치솟는 불길과 연기에 당황해 우왕좌왕했다고 하더라도 지하철역 구조를 알고있는 지하철 종사자들은 승객들의 안전을 위해 소방장비를 최대한 활용하는 노력을 기울였어야 했던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번 사고에 따른 대응을 볼때 긴급사태시 지하철역의 소방훈련은 물론 재난에 대비해 실시하고 있는 각종 재해.구조.대피훈련 등이 얼마나 형식적으로 이뤄지고 있는가를 드러낸 셈이어서 앞으로 보다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대구=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