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마련한 `지하철 및 지하취약시설 소방대책'은 대구 지하철 방화 참사와 마찬가지로 불특정 다수가 출입하는 지하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형참사를 사전에 예방하고 재난 발생때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게 주요 내용이다. ◇서울 지하철.취약지하시설 현황 = 서울시내 지하철 역사는 지하철공사와 도시철도공사가 운행하는 1∼8호선과 철도청의 국철을 포함해 모두 289곳으로, 이 가운데 246곳이 지하역사로 운영되고 있다. 노선별로는 하루 1개 열차당 8∼10량씩 모두 400개 열차가 운행되며, 총 전동차량은 3천508개에 이르고 있다. 지하철 소방시설은 역사의 경우 소화기와 옥내소화전, 자동탐지설비, 유도등, 비상조명등, 연결송수관, 제연설비 등이 설치돼 있으며, 전동차량에는 1량당 2개와 앞.뒤 운전실에 1개씩 설치된 분말소화기가 전부다. 또 취약지하시설은 잠실과 영등포, 고속터미널, 남부터미널, 을지로상가, 강남, 동대문역 등과 연결된 대형지하시설 7곳과 지하상가같은 중규모시설 29곳, 지하철과연결된 소규모 건축물 28곳 등 64곳이다. 지하 공동구는 공공용 공동구 5곳과 단독 전력구 80곳, 단독 통신구 67곳, 일반용 공동구 800곳, 일반용 단독구 6곳 등 모두 958곳 489㎞ 규모로, 이들 지역에는 소화기와 연소방지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방화벽, 연소방지도료 등 소방시설이 지난해 12월까지 모두 보강된 상태다. ◇지하시설 소방 문제점 = 지하철과 취약지하시설 등에서는 불특정 다수인이 출입함에 따라 화재때 연기와 열로 인한 긴급대피와 인명구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 전기가 끊길 경우 앞을 볼 수 없는 데다 소방시설 등 기능이 정지돼 소방활동에 장애가 발생하며, 연기가 제대로 배출되지 않고 밖으로 나갈 수 있는 통로도 적어 대피 인파가 한꺼번에 몰릴 때 압사사고가 발생할 우려도 크다. 특히 지하철은 전동차내 집기류와 벽, 바닥 등이 대부분 가연물질로 구성돼 있는 데다 출입문 자동제어기능이 정지될 경우 승객이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가 하면 승강장과 대합실내 연기제어기능이 미흡하다는 것도 시가 분석한 문제점이다. ◇서울 지하시설 화재사고 현황 = 이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시내 지하시설에서는 인명 등 피해가 그리 크지 않지만 화재사고도 잇따랐다. 지난 94년 3월 종로5가 통신구에서는 양수펌프 전기합선으로 화재가 발생, 통신선 9만3천회선이 소실되는 등의 피해를 냈으며, 2000년 2월에는 여의도 공동구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사고로 전화 3만3천회선과 전선 270m가 소실됐다. 또 99년 청량리역에서는 환기구내 고압전선에서 불이 났으며, 2001년에는 고속터미널역과 신당역, 문래역에서 누전이나 용접 불씨 발화로 인한 화재가 잇따랐다. 97년에는 시청역에서는 출구쪽 환기구 아래 변전실에서 불이 나 20여분간 유독가스와 연기가 역 구내로 스며드는 바람에 승객 1천여명이 긴급 대피하는 소동도 빚어졌다. ◇시설보완 및 관리개선대책 = 내달 5일까지 소방서와 전기안전공사, 소방전문가 등과 합동으로 시내 전동차량 3천508량과 지하철역 289곳, 대합실 등을 대상으로정밀안전점검을 벌여 시설보완 및 관리개선대책을 장.단기적으로 추진한다. 이같은 대책으로는 역마다 승객들이 유사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승강장에서 대합실, 지상까지 발광 피난동선을 설치하고, 각 계단이나 통로에는 유도등이나 동선안내판 등 출입구안내표시를 보강하는 한편 피난로의 비상조명등도 20룩스 이상으로 늘린다. 전동차내 의자와 집기, 광고물, 내부구조물의 시설은 방염화하고, 연기제어를 위한 설비의 풍량을 보강, 기능을 개선하는 한편 화재 및 안전사고에 대비한 안전요원도 보강한다. 또 사각지역에 거동수상자 감시카메라를 설치하는 한편 대형시설에 대해 `화재영향평가제'를 도입할 수 있도록 중앙부처에 법개정을 건의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시는 이밖에 지하상가 등 취약지하시설과 공동구에 대해서는 건축구조안전이나 소방시설 가동상태 등에 대한 점검과 순찰을 강화하고 화염 및 유독가스 유입때 대피방법을 강구하는 등의 계획도 추진키로 했다. (서울=연합뉴스) aupf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