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외환위기 이후 취업문에 '빗장'이 걸리면서 청년 실업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상시 구조조정이 산업 현장에 자리잡으면서 절대적인 일자리 수가 줄어들고 있는데다 신규 대졸자보다는 경력사원을 선호하는 기업들의 변화된 채용 경향이 청년 실업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과거와 같은 대규모 대기업 그룹공채가 사라지고 사업부, 계열사별로 필요한 인력을 그때그때 충원하는 인력채용방식도 민간 부분의 노동수요를 감소시키고 있다.



지난해 12월말 현재 20∼29세의 청년 실업자 수는 모두 27만1천명.


전체 실업자 67만6천명의 40%에 육박하는 수치다.


평균 실업률도 전체 실업률(3.0%)의 두배가 넘는 6.4%를 기록했다.


지표실업률과 청년층이 구직과정에서 겪는 체감실업률의 괴리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전병유 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통계상 취업자로 잡혀 있는 불완전취업자(주당 근로시간 18시간)와 급한 김에 구한 직장이 맞지 않아 이리저리 옮겨다니는 이른바 '마찰실업' 청년층까지 고려한다면 청년실업문제는 더욱 심각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청년실업이 계절적 요인과 같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노동시장의 구조적 문제라는데 의견을 같이 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대학의 인력 양성 내용과 기업 요구의 불일치, 대졸 인력의 공급 과잉 등이 노동시장의 수급 불균형을 가져오는 주요 원인이라고 보고 있다.


최근 6년간 대졸자수 추이를 보면 지난 95년 32만4천명에서 지난해에는 50만명을 넘어섰다.


일반계 고교생의 대학 진학률도 80%에 육박하고 있다.


대학 진학률 상승과 함께 청년구직자들의 취업 눈높이도 동시에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대기업 중심의 채용 시장이 급속히 축소되는 가운데 중소제조업체들의 인력난은 극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고실업난 속의 고인력난'이라는 양극화 현상이 산업 현장에서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중소기업 관계자들은 이러한 상황에 대해 "바다 한가운데에서 먹을 물이 없는 것"과 같은 상황이라며 대기업으로만 쏠려 있는 구직자들의 관심을 중소기업으로 이끌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문영철 스카우트 사장은 "매년 취업 시장에 쏟아져 나오는 20여만명의 대졸자들이 3만여개의 대기업 일자리에만 몰두하면서 청년실업난이 심화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산업현장의 요구와 괴리된 대학교육의 맹점을 해결하지 않고서는 청년실업문제를 풀수 없다는 전문가들의 지적도 있다.


정인수 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산업수요에 부응하는 교육과정으로의 개편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단위 학교에 자율권을 이양함으로써 경쟁기능을 강화하고 교육기관의 다양화, 특성화를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LG경제연구원의 송태정 선임연구원은 "최근 들어 청년층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떨어지는 것은 아예 구직을 포기해 버리는 '실망실업자'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방증"이라며 "완전고용을 지향하는 양적인 취업대책보다는 비정규직 근로여건 향상 등 질적인 취업대책이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