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 당선자는 재야노동세력과 친하다는 점에서 김대중 대통령과 성향이 비슷하다. 그러나 정책방향에 있어선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우선 외국인근로자를 보는 시각이 다르다. DJ정부는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현재의 산업연수생제도를 보완해야 한다는 입장인데 반해 노 당선자는 외국인근로자의 인권보호 등을 위해 외국인고용허가제를 도입, 국내근로자와 동등한 대우를 해줘야 한다고 주장한다. 노 당선자가 이러한 입장을 고수할 경우 중소기업과 관계부처의 거센 반발에 부딪쳐 상당한 파문이 예상된다. 노동시장 유연성 문제 역시 방향이 다르다. DJ정부는 현재 국내 노동시장이 경색돼 있다고 판단, 유연성 제고에 온갖 노력을 기울여 왔다. 재계 역시 경영을 제대로 하려면 노동시장의 유연성이 필요하다며 정부에 해결책을 여러차례 요구해 왔다. 그러나 노 당선자는 노동시장의 유연성이 선진국에 비해 오히려 높다며 비정규직 보호가 더 시급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노 당선자는 소외계층에 대한 사회복지 혜택을 현정부보다 대폭 늘릴 것으로 보인다. 노 당선자는 기초생활보장제도를 확대 발전시키고 기초생활보장 대상자의 자활능력을 높여 복지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겠다는 입장이다. 또 1조3천억원의 예산을 들여 보육료의 절반을 국가에서 부담해 여성인력의 사회진출을 돕고 노인 일자리 50만개를 창출하며 노인연금도 현재의 2배 수준으로 늘린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노 당선자는 이런 지출 확대에 대비해 "현재 재정의 10% 수준인 사회복지 예산을 15% 이상으로 높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