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는 3일 교내 문화관에서 정운찬 총장의 지역할당제 도입 발언 이후 처음으로 이 제도에 대한 토론회를 열었다. `지역할당제 입시제도 무엇이 문제인가'를 주제로 열린 이번 토론회에서 서울대교수들은 지역할당제의 구체적인 도입안을 제시하는 등 찬성하는 입장이었지만 타대학 교수들은 대체로 서울대가 추진하는 이 제도에 대해 반대 의견을 개진했다. 첫번째 주제발표자로 나선 이 대학 교육학과 윤정일 교수는 "최근 4년간 16개 시도지역중에서 전국평균 이하로 서울대 신입생을 낸 지역이 11개나 될 정도로 지역별 편차가 크다"면서 "국가의 균형발전과 균등한 교육기회 제공을 위해 지역할당제를 도입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윤 교수는 "전년도 신입생을 기준으로 전국 232개 시군구별로 신입생이 없는 지역에 4명, 신입생이 1명밖에 없는 지역에 3명 등 할당인원을 차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윤 교수는 또 "지원자격으로는 해당지역 거주 6년 이상을 요구하고 재수생을 제외하고 지역내 고교장 추천자간의 경쟁으로 선발해야한다"덧붙였다. 자연대 김희준 교무부학장은 "지역할당제로 정원의 10%정도를 선발한다고 가정할때 수시모집에서는 국제대회 수상경력만으로 지역별로 신입생을 뽑을 수 있고 정시모집에서는 내신이 아닌 수능 성적우수자를 지역별로 선발하면 우수한 이공계 대학생을 선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고려대 사범대 박도순 학장은 "지역할당제는 긍정적인 제도지만 학벌주의와 서울대 우월주의의 또다른 표현방식이라는 관점도 있고 사회적 경쟁을 과도하게 촉발시키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지역할당제는 기본 철학에는 공감이 가지만 시행과정에서는 부정적인 측면이 더 많다"고 지적했다. 수원대 강인수 교수는 "실질적인 형평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역할당제 보다 경제적, 사회적 수준이 낮은 지역의 학교별 할당제다 더 합리적이다"고 주장했다. 미국 세인트토머스대의 조시화 교수도 "지역할당제의 취지는 의미가 있지만 교육불평등을 보상하는 것이라면 성별, 계층별 불평등도 고려해야 할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고일환 기자 koma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