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비켜가는 듯 했던 수능난이도 조절 실패의 악몽이 또다시 가시화되고 있다. 수능점수는 재작년에 전체 수험생평균 27점 상승했다가 작년에는 66.5점 하락해 널뛰기한다는 비난을 한몸에 받아 올해는 `이변이 없는 한' 작년과 재작년의 중간수준으로는 나오지 않겠느냐고 예상했지만 7일 가채점 결과는 예상을 빗나갔다. 다음달 2일 최종 성적발표를 지켜봐야하지만 가채점 결과만으로도 "도대체 언제까지 이런 난이도 혼란을 겪어야하느냐", "정말 난이도 맞추기가 이렇게 힘드냐"는 비난의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올해는 난이도 조절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출제위원단에 일선 고교교사를 대거 포함시키고, 9월에는 모의평가까지 해봤으며 출제지원 예산도 대폭 늘렸기 때문에 더더욱 교육당국이 비난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난이도 조절이 실패한 가장 큰 원인은 현재 고3 재학생들의 학력수준이 단군이래 최저라던 지난해 고3보다 더 낮은 학력저하 현상을 출제당국이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출제당국은 "해마다 달라지는 수험생들의 학력수준을 고려해 문제를 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수능문제의 객관적인 난이도는 고르게 유지해야한다"고밝혀 올해 수능은 문제는 작년보다 쉬웠으나 수험생들의 학력수준이 예상보다 더 낮아 점수가 좋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관련 조승제 출제위원장(서울대 수학교육과 교수)도 "올해 수험생들 수준에서 난이도를 고려하지 않았으며 문제 고유의 난이도를 측정해서 지난해보다 쉽게 낸것"이라고 말했다. ◇재학생 학력저하 고려안했나 = 7일 가채점 결과를 발표한 이종승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은 "올해 재학생의 학력수준이 떨어져서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는 알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재학생과 재수생의 학력격차는 이미 지난 9월3일 실시했던 평가원의 모의평가 결과에서 이미 뚜렷하게 드러나 올해 재학생이 단군이래 최저학력이라던 지난해 재학생보다 더 저학력이라는 우려가 제기됐었다. 모의평가에서 인문계는 재수생이 전체집단 기준 58.7점, 자연계는 72.1점이나앞섰고, 상위 50%는 각각 22.7점, 28.9점 앞서 작년보다 두배 이상 차이가 났었다. 실제로 이번 수능을 치른 직후 재수생들은 "작년수준이거나 좀 쉬웠다"는 반응인 반면, 재학생들은 "모의평가보다도, 지난해 수능보다도 더 어려웠다"며 울상을짓고 있다. 그러나 현장교사를 대거 출제위원에 참여시키고 지난 9월에는 모의평가까지 실시해가며 수험생 학력수준 측정에 골몰했던 평가원이 수험생의 학력수준을 고려하지않았다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는 지적도 있다. ◇사탐 난이도 실패 = 가채점 결과 가장 점수하락폭이 큰 영역은 사회탐구로 전체집단의 경우 인문계는 작년수능보다 4.4점, 자연계는 8.1점이 떨어졌다. 상위 50%집단도 인문계는 4.4점 자연계는 8.8점이 떨어져 총점하락세의 주원인중의 하나가 바로 사탐 난이도 조절 실패인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9월 모의평가에서도 사탐과 과탐에서 3-6점씩이 작년 수능보다 하락해 이번 본 수능에서는 사탐과 과탐의 난이도가 집중적으로 조절될 것으로 추정됐으나 사탐은 난이도가 제대로 조절되지 않고 모의평가때보다 오히려 점수가 더 떨어졌다. 평가원은 사탐이나 과탐의 성적 하락은 최근들어 대학들이 5개 영역 점수를 모두 반영하지 않고 인문계열 학과는 과탐을, 자연계열 학과는 사탐을 제외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기 때문에 수험생들이 사탐과 과탐에 전력투구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이런 논리라면 사탐의 경우 자연계 수험생의 점수하락폭이 인문계 수험생의 두배에 달하는 채점결과가 설명되지만 과탐은 비교적 적절하게 난이도가 조절된 것은어떤 이유인지 설명이 되지 않는다. ◇출제체제 문제없나 = 교육부와 평가원은 올해는 평가원내에 수능을 전담관리할 상시기구를 설치했고, 현장경험이 풍부한 전문연구인력 34명을 보강해 기출문항을 분석하고 새로운 문항유형을 개발.관리했다. 심지어 출제위원에 현직 고교교사를 20%인 32명 참여시켰고 모든 시험영역 출제에 참여시켰다. 작년에는 출제위원에 참여한 현직교사는 7% 인 10명 뿐이었고 참여한 시험영역도 사회탐구.과학탐구와 제2외국어 영역이었던 것에 비하면 상당한 노력이었다. 또 난이도 조절을 위해 실제 수능과 똑같은 형식의 모의평가를 지난 9월 실시해수험생들의 학력수준을 진단.분석했다. 교육계에서는 수능을 자격기준으로만 삼고 비중을 점차 줄이겠다는 것이 여러차례 공언된 교육당국의 의지인 만큼 어느 정도의 난이도만 유지된다면 매년 수능 평균 점수 등락폭이 더 이상 문제가 되서는 안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에 따라 수능점수를 발표할 때 원점수를 발표하지 않고 당해 수험생 중에서 자신의 성취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려주는 표준점수만을 발표하는 것이 난이도 논란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지만 이는 2005학년도에나 도입될 예정이어서 내년에도난이도 논란이 되풀이될 수 있다. (서울=연합뉴스) 조채희 기자 chaehee@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