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재해가 매년 늘어나면서 기업의 경제적 손실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산재는 개인은 물론 기업에까지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단 한번의 중대사고는 기업에 치명타를 가할수 있다. 산재가 자주 발생하는 기업은 경쟁력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산재예방을 최우선으로 삼는 안전경영은 기업이 살아남을수 있는 필수요건이 되고 있다. 산업안전은 경쟁력 =일터의 안전은 근로자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본요소다. 근로자는 높은 임금뿐 아니라 쾌적한 직장생활을 바라고 있다. 생산성을 높이려면 사고위험이 적은 안전하고 깨끗한 작업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그래야 좋은 인재도 확보하고 사고도 줄여 기업의 생산성을 높일수 있다. 그러나 많은 기업들은 안전투자를 꺼리고 있다. 산업안전예방을 위해 돈을 쓰는 것을 손실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기업들의 이같은 사고 때문에 산업재해는 전혀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다. 산업재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규모는 엄청나다.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산재로 인한 경제적 손실액이 8조7천2백30억원에 이른다. 2002 한.일 월드컵때 10개 도시의 월드컵경기장 10개를 짓는데 2조원이 들었으니까 이를 40여개나 지을수 있는 액수다. 노사분규로 인한 생산차질액(매년 2조원 안팎)보다도 4배나 많은 돈이다. 독일 등 선진국의 경우 산업재해로 사망하는 비율이 우리나라의 10% 수준에 불과하다. 신체장애자 발생률도 3분의 1 정도이다. 선진국 기업들이 산재예방에 얼마나 많은 관심을 쏟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산재는 어떤 곳에서 생기나 =올 상반기중 산업현장에서 발생한 재해자수는 3만8천8백38명으로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3.4% 증가했다. 재해로 인한 사망자수는 1천2백42명. 매일 7명 정도가 작업장에서 일하다 사고로 죽는 셈이다. 이 가운데 건축자재를 나르고 쌓고 자르는 건설현장의 사고는 심각한 수준이다. 상반기중 건설공사를 하다 다치거나 목숨을 잃은 사람은 8천8백53명으로 지난해 같은기간(6천6백36명)보다 33.4%나 늘었다. 사망한 근로자도 2백90명에 달하고 있다. 건설현장에 산재가 늘어난 것은 재건축 등 건설물량이 대폭 증가하면서 일손이 부족해진 작업장에 공사장 경험이 없는 미숙련 노동자가 대거 투입된 때문으로 노동부는 분석하고 있다. 광업도 산재로 골머리를 앓는 업종중 하나다. 특히 작업장 특성상 한번 사고가 나면 중대사고로 이어져 많은 희생을 치른다. 올 상반기에는 지난해보다 31.7%가 늘어난 6백81명이 산재피해를 당했지만 이중 목숨을 잃은 근로자는 30% 가량인 2백11명에 달했다. 소규모 영세사업장은 재해예방 사각지대다. 전체 재해의 70.5%인 2만7천4백8명이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일어났다. 5인 미만 영세사업장에서 발생한 재해도 전체의 22.4%를 차지했다. 노동부 안전정책과의 정진우 사무관은 "외환위기 극복과정에서 기업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유해한 작업이 상당부분 영세소규모 3D 사업장으로 이전되면서 소규모 사업장의 산재발생비율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또한 각종 안전설비가 갖춰진 대규모 사업장보다 투자가 덜 된 것도 사고를 일으키는 요인으로 꼽힌다. 윤기설 기자 upyk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