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 대상지중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강북재개발이 블록을 몇개씩 묶어 시에서 도로와 인프라 등을 적극 지원하는 '미니 신도시형'으로 개발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서울시는 23일 도시계획사업인데도 사실상 민간이 주도하면서 도로 과부하, 장기 미시행 등의 폐해를 낳은 재개발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이같은 도시기반시설을 지원, 일종의 미니 신도시화해 공공개발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시 도시계획국과 주택국의 협의를 거쳐 내년에 재정비될 재개발기본계획은 기본적으로 민간 위주의 재건축과는 달리 공공적 성격이 강한 재개발의 원래 취지를 살려 개별 아파트단지보다는 타운 성격의 지역 생활권으로 조성하자는 것. 그 배경에는 그간 재개발조합측이 골목길 등 국공유지 매입 부담에다 도로 개설부담까지 져야하는 등 상대적으로 사업성이 떨어져 재개발 추진이 지지부진한데 있었다. 또 성동구 금호동, 행당동의 경우처럼 재개발이 활발히 일어나 6천세대 가량의 아파트가 각각 지어지더라도 블록별로 사업을 추진하다보니 학교시설 부담금을 내면서도 정작 학교 부지가 없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 무엇보다 재개발 단지안에서만 단편적으로 도로를 개설하는데 치중하다보니 단지 주변과의 교통 흐름과 맞지 않아 정체 현상이 빚어지기도 했다. 지금까지 재개발 추진 과정과 관련, 시에서는 용적률.건폐율.층수 등만을 대략 규정하는 사업계획결정만 하고 구청에서는 이를 인가해준 뒤 이후 설계-시공-입주단계는 재개발조합이 그대로 떠맡았다. 이 때문에 재개발에 대한 주민 3분의 2 동의 요건에 응하지 않은 나머지 주민들이 강제철거에 반발해 사업이 지지부진하기도 했으며 사업성 저하 등으로 15년이상시행되지 못한 곳도 일부 있다. 현재 주택재개발 사업 구역중 시행중인 곳은 78군데에, 미시행인 곳이 38곳이고 2011년까지 재개발구역 대상 범위로 정해진 곳은 352군데에 달하며 재개발 사업중약 80%는 강북 지역이다. 시 관계자는 "강북 등의 재개발에 실질적으로 공공부문이 개입, 계획적으로 시가지를 조성하는 이같은 방안은 용적률 완화에 따른 난개발이나 도시경관 파괴, 도로 과부하를 막으면서도 실질적 인센티브를 주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성진 기자 sungji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