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0년대초 에이즈 감염자가 매혈한 혈액이 국산 혈우병 치료제를 제조하는데 섞여 들어간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또 이 치료제를 사용한 혈우병 환자 일부가 에이즈에 집단감염된 것으로 나타나인과관계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13일 국립보건원에 따르면 지난 90년 자신의 감염 사실을 모르고 매혈한 에이즈감염자 2명의 혈장이 국내 한 제약사가 91년 생산하기 시작한 혈우병 치료제에 원료의 일부로 섞여 들어갔다. 또 이 제약사가 91년부터 93년까지 공급한 혈우병 치료제 주사를 사용한 국내혈우병 환자 120여명중에서 15% 가량인 18명이 에이즈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보건원 이종구 방역과장은 "이와 관련해 94년과 96년 두차례 조사위원회를 구성,역학조사를 벌였지만 환자들이 혈우병 치료제뿐 아니라 혈장과 혈전 등을 자주 수혈하는 등의 여러가지 가능성이 있어 문제의 치료제와 에이즈 감염 사이의 인과관계에대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고 말했다. 또 미국 기술진을 불러 문제가 된 치료제의 생산공정을 점검했으나 이상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이 과장은 덧붙였다. 이에 대해 울산의대 미생물학교실 조영걸 교수는 에이즈 관련 국제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당시 에이즈에 집단 감염된 혈우병 환자 4명과 지난 91년 혈우병치료제 원료로 사용된 에이즈 감염자의 혈액샘플을 분자유전학적으로 분석한 결과,바이러스 염기서열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혀 논란이 예상된다. 이와 관련, 보건원은 혈우병 치료제에 의해 혈우병 환자가 에이즈에 감염됐다는조 교수 주장의 사실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혈액학과 미생물학, 역학, 약학분야의 전문가들로 조사반을 즉각 구성, 재조사를 실시키로 했다. 보건원은 이를 통해 조 교수의 주장이 사실로 확인되면 관련 제약사에 대해 관련제품 제조정지는 물론 손해배상 청구 등 엄정한 법적책임을 물을 방침이다. 보건원 이종구 방역과장은 "이 문제는 무엇보다 진상규명이 선결과제이기 때문에 신속히 조사반을 가동, 재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한편 혈우병 치료제는 작은 출혈에도 피가 멎지 않아 평생 혈액응고인자를 주사맞으면서 살아야 하는 만성 유전질환인 혈우병 환자를 위한 의약품으로 혈액중에서혈액응고 성분만을 농축해 제조한다. 당시 이 제약사는 치료제 원료인 혈장에 대해 에이즈 항체검사를 실시했지만 문제의 매혈자 2명은 항체가 형성되기 이전 단계의 초기 에이즈 감염자로, 여러 차례매혈을 했으나 마지막 검사에서만 에이즈 양성반응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에이즈 항체가 형성되는데는 감염 뒤 보통 6∼14주, 길게는 2년이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울=연합뉴스) 서한기기자 sh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