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야심차게 조성했던 울산석유화학공단 인근의 외국인투자기업 전용공단.지난해 10월 분양공고가 나간 지 1년이 다 되도록 단 한개의 기업도 입주신청서를 내지 않아 관계자들이 발을 구르고 있다. 반면 경기도는 수도권에 위치한 외국기업전용 임대단지 몇 곳이 인기를 끌자 비슷한 단지 30만평을 추가 조성중이다. 이처럼 외국기업을 끌어들이기 위해 만든 외국기업 전용단지가 수도권과 지방에 따라 임대 분양 실적에서 명암이 엇갈리자 지방자치단체들이 대책마련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 비상걸린 지자체들 =울산시는 25개 가량의 외국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지난 98년말 착공한 단지의 완공이 임박했는데도 들어오겠다는 외국기업이 없자 국내 기업에 문호를 개방하는 등 비상대책을 마련했다. 울산시의 전용단지 조성 실패는 오락가락하는 정책에서 비롯됐다. 평당 1만∼3만원대에 길게는 50년까지 외국기업에 빌려주겠다는 당초 방침을 올들어 변경, 외국기업에 인센티브를 주지 않는 일반 분양에 나섰다. 단지조성 초기에는 미국의 트라이케트사 등 외국 기업과 입주의향서 체결이 잇따랐으나 지금은 이들 업체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 광주시 광산구 장록동, 월전동 일대에 1천억원을 들여 조성한 평동 외국인기업 전용단지에 입주하기로 했던 27개사중 실제 공장을 가동중인 곳은 신한포토닉스 월드산업 등 손에 꼽을 정도. 나머지는 말뚝만 박아 놓은 채 3년 이상 착공을 미루고 있다. 광주시는 당초 이 단지를 첨단 업종 중심으로 조성할 계획이었다. 지금은 식료품과 목재 등 단순 제조업체만 입주했을 뿐이다. 캐리어와 세이와코리아 등 일부 전자부품업체는 공장 간판을 내걸었으나 실제는 부지를 물류창고로 전용했다. 광주시 D정공 박은성 사장(51)은 "교통과 인력에서 불리한 입지조건을 안은 지방공단은 파격적인 입주조건과 함께 행정기관의 토털지원망을 갖춰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 즐거운 비명의 수도권 =지방과 달리 수도권의 외국인 전용단지 상황은 딴판이다. 경기도는 평택시 포승 국가공단과 현곡 지방공단에 모두 1천1백55억원을 들여 외국인기업 전용 임대단지 30만평을 추가로 조성키로 했다. 지난 99년부터 건설한 어연, 한산, 추팔 단지내 12만5천여평의 외국인기업 임대단지에서 모두 2억7백만달러의 외자유치 실적을 올릴 정도로 인기를 끌었기 때문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외국 기업들이 광주 울산 등 지방과 입주조건이 비슷한데도 사원을 구하기 쉽고 교통물류망이 잘 갖춰진 수도권을 선호하는 바람에 임대가 잘됐다"며 "밀려드는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일반공단의 용도를 바꾸면서까지 추가 조성에 나서게 됐다"고 설명했다. 전남대 박광서 교수(경제학)는 "외국기업 전용공단은 실적쌓기에 급급하면 1백% 실패하게 마련"이라며 "지자체가 지금이라도 획기적인 세제감면과 함께 종합마케팅을 강조하는 관리계획을 다시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희영.최성국.하인식 기자 songk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