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활동하는 젊은 한국 과학자 2명이 각각 하나의 금속 원자와 분자를 이용해 트랜지스터를 구현하는데 성공,영국 과학저널 '네이처'의 표지 논문으로 함께 게재됐다. 하버드대 화학과 박홍근 교수(34)팀과 코넬대 박지웅씨(28·박사과정)를 포함한 대니얼 C 랠프 교수팀은 네이처(13일자)에서 각각 금(Au) 전극 사이에 바나듐과 코발트를 배치해 단(單) 트랜지스터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기본단위인 트랜지스터를 더 작게 만드는 것은 관련 학자들의 오랜 목표 중 하나로 1개의 원자나 분자를 트랜지스터로 이용할 수 있는 단원자 또는 단분자 트랜지스터는 소형화의 최종점으로 간주돼 왔다. 네덜란드 델프트기술대학의 레오 쿠웬호벤 교수는 네이처에 실린 논평에서 "1940년대 반도체 트랜지스터는 전자회로의 혁명을 가져왔지만 이 연구는 나노전자공학세계에서는 원자 하나가 트랜지스터가 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박홍근 교수는 서울대 화학과 출신으로 스탠퍼드대학에서 4년만에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1999년 32세의 나이에 하버드대 교수로 임용돼 화제를 모았었다. 장욱진 기자 sorinagi@hankyung.com